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기자수첩]진화하는 '불법 텔레마케팅' 소비자는 괴롭다
상태바
[기자수첩]진화하는 '불법 텔레마케팅' 소비자는 괴롭다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15.02.12 08: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랑합니다 고객님 최신폰을 저렴한 가격으로 바꿀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지금 바로 구입하시..."

010으로 시작하는 발신번호에 혹시나 하면서 받은 전화가 역시나였다. 이번에도 또 속았다. 해당 번호를 스팸목록에 저장하면서 한숨을 쉰다.

일주일에 2~3번씩 반복적으로 걸려오는 텔레마케팅 전화에 대처하는 기자를 포함한 많은 소비자들이 겪고 있는 일이다. 

통신 텔레마케팅이 문제가 된 게 하루 이틀이 아니지만 근절은커녕 오히려 다양하고 창의적인 수법으로 진화하고 있다. 더 이상 1588, 1677 같은 대표전화를 이용하는 낡은 수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휴대전화 국번인 010번호로도 걸려온다.

전화를 거는 상대방도 다양해졌다. 자동응답기를 이용한 무차별적인 발신은 물론이고 자신이 대리점 직원이라며 신분을 드러내 환심을 사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나타난다.

굴비 엮어가듯이 가입한 통신상품은 해지하기도 어렵다. 결정적인 증거인 녹취록을 찾으려해도 업자는 자취를 감췄고 계정을 원상복구하려해도 가입 후 2주에 불과해 이후에는 해지 위약금이 붙는다.

통신 텔레마케팅이 다양한 모습으로 진화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도 끊이지 않고 있다. 소비자고발센터(www.goso.co.kr)에 접수된 지난해 불법 통신 텔레마케팅 관련 소비자 피해는 200여 건이 넘었고 올해 1월에도 20여 건 가까이 접수됐다.

유명 통신사 브랜드를 사칭한 불완전 판매는 물론이며 '공짜'라고 소개한 할부원금이 매 달 일정금액씩 쪼개져 인출되는 등 피해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심지어 텔레마케팅이란 이유로 서면 계약서 하나 보내주지 않아 대응조차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다.

특히 피해 소비자 대부분이 통신 상품에 상대적으로 눈이 어두울 수 밖에 없는 노년층이어서 피해 발생 시 기민한 대처가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통신사들이 수 년간 피해를 방조하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를 들어도 마땅한 상황이다. 참고로 통신사들은 공식적으로 텔레마케팅을 통한 판매를 하고 있지 않다고 수 년째 같은 입장을 되풀이 하고 있다.

반면 현장에서 만나는 통신업계 관계자들도 할 말은 있다. 합법적인 텔레마케팅에 대한 이미지도 나빠질 뿐더러 '불법 TM 척결대회'도 하는 마당에 누가 강심장으로 텔레마케팅을 하겠냐는 푸념이다.

발신번호 생성기를 통해 무차별 스팸전화를 돌리면서 응답여부까지 고려해 발신 횟수를 조절할 정도로 수법이 갈수록 진화해가는 현실을 감안하면 통신사에 무한정 책임을 떠넘길 수 없는 노릇이다.

123.png
불법 TM을 저지르다가 적발된 대리점과 판매점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거나 반복 적발 시 가맹계약을 해지하는 초강수를 두면서 적극적으로 대처를 하는 통신사들의 노력이 없는 것도 아니다.

관계부처에서도 불법TM 신고센터를 일찍이 만들고 포상금 제도도 운영하고 있어 문제의식을 모두가 충분히 공유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개인정보보호 정상화 대책'의 일환으로 민간 자율 신고포상금을 기존보다 2배 확대하는 방안을 포함시켰다.

하지만 일부 대리점에서 행해지는 '일탈'이라는 변명은 그대로다. 근절 대회도 열심히 하고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정노력도 한다지만 눈에 보이는 피해 앞에서 소비자들은 결과적으로 '구호만 요란한 대책'이라는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다.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제대로 된 대책이 절실하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