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삼성, 그룹 중심 경영 해체 후폭풍...재벌 폐해 끊고 기업운영 선진화 물꼬 틀까?
상태바
삼성, 그룹 중심 경영 해체 후폭풍...재벌 폐해 끊고 기업운영 선진화 물꼬 틀까?
  • 김국헌 기자 khk@csnews.co.kr
  • 승인 2017.03.06 0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이 미래전략실을 해체하면서 58년 간 이어온 그룹 중심의 경영방식을 포기하고, 각사 대표이사와 사외이사 중심의 각자도생이라는 새로운 길을 가게됐다.

삼성그룹이 해체되면서 각종 후폭풍이 예상되고 있지만 초기 발생하는 문제들의 교통정리가 끝나면 장기적으로 선진화된 기업운영의 표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삼성 그룹경경 포기...타 대기업들도 벤치마킹할까

먼저 미전실 해체, 계열사 자율경영체제 도입으로 이어지는 삼성의 이번 그룹경영 포기를 다른 대기업들도 벤치마킹할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그룹은 전체 시가총액이 419조 원에 달하는 명실상부 국내 재계 1위로써 그동안 삼성이 먼저 하면 다른 대기업들도 따라가는 구조를 보여왔다.

최근 사례만 보더라도 삼성이 전국경제인연합회를 탈퇴하자 SK, 현대차, 삼성, LG전자 등이 전경련을 잇달아 탈퇴한 바 있다. 삼성이 기부금을 깨끗하고 투명하게 운영하겠다며 10억 원 이상의 모든 후원금과 사회공헌기금을 이사회 의결을 거치도록 바꾸자 SK그룹도 똑같이 따라갔다.

삼성의 그룹경영 포기는 '최순실 게이트'로 불거진 정경유착의 고리를 근절한다는 강력한 대의명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재계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국내 10대 그룹의 경우 현대차와 현대중공업을 빼면 대부분 어떤 식으로든 컨트롤타워를 갖추고 있다. 삼성 미전실처럼 총괄업무를 하는 영역과 추진하는 힘이 크냐 적냐의 차이다.
 
특히 한화와 롯데 등 미전실과 비슷한 그룹 내 위상을 가진 컨트롤 타워를 가진 업체는 고심이 크다. 한화그룹 경영기획실과 롯데그룹의 경영혁신실은 그룹 현안을 총괄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면서 각각 '한화판 미전실', '롯데판 미전실' 이라는 얘기도 나올 정도다. 포스코는 가치경영센터가 그룹 총괄조직으로써 사업구조개편, 재무 기능을 갖고 있고, SK는 SK수펙스추구협의회, 신세계 전략실이 이러한 총괄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LG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부서는 없지만 CEO전략회의를 운영한다. 삼성이 이번에 사장단 회의까지 없앴기 때문에 LG도 적지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관련 기업들은 경영시스템 변화에 대해 신중히 여론을 살피고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의 미전실처럼 채용, 인사, 대관, 경영진단, 인수합병(M&A) 등의 경영전반을 담당하지는 않기 때문에 당장 삼성처럼 그룹 컨트롤타워 해체라는 초강수를 두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정권 비선실세의 표적이 된 것이 주로 그룹들이기 때문에 정권유착을 끝내기 위해 어떤 식으로든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의 그룹해체는 정권 유착 근절이라는 대의명분이 있고, 비선실세에 당한 것은 타 대기업들도 마찬가지기 때문에 추후 재발방지를 위해 타사들도 변화를 줄 가능성이 높다"며 "장기적으로는 정경유착의 뿌리를 뽑고 기업성장에만 집중할 수 있는 재계 전반의 시스템이 마련되는 기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각종 후폭풍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움될 것이란 시각도

삼성그룹 해체로 인해 실적이 좋지 않았던 사업이나 계열사 정리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삼성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등 수익성이 낮은 비주력 계열사들은 독자생존의 도전에 직면했다. 삼성그룹에 속해있다는 이유만으로 실적이 부진해도 금융권의 삼성이 나서줄 것이란 기대감으로 인해 생존에 도움을 받는 측면이 컸다. 삼성의 그룹경영 포기로 이들 업체들은 보다 가혹해진 환경에서 생존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측면에서 생존할 수만 있다면 기업 자생력이 오히려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룹경영 포기로 인한 단점으로 삼성의 공격적인 인수합병(M&A), 대규모 투자 등 신속하고 과감한 결정이 차질을 빚을 것이란 전망이 거론된다. 미전실이 해체되더라도 이러한 중대사항의 결정들은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 3사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삼성전자가 다른 두 회사보다 상위에 위치해 결정을 주도하는 시나리오가 제기되고 있다. 신속과감한 결정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시각이 힘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의 그룹 해체로 인한 후폭풍 중 심각하게 제기되는 문제 중 하나는 그룹 채용이 사라지면서 채용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미전실이 사라지면서 그룹 차원에서 진행됐던 인재 채용이 사라지면서 채용 숫자 자체가 적어지는데다 여성이나 고졸 출신, 장애인, 저소득층, 지방대 등 상대적으로 소외된 수험생에게 기회를 주는 제도가 사라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삼성 그룹 공채는 올해 상반기 채용이 마지막이며, 앞으론 계열사별로 공채를 실시하거나 수시 채용 방식을 도입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 그룹의 채용 일정과 방식 변화에 따라 다른 기업들도 그룹별 공채가 아닌 계열사별 공채를 실시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계열사들이 각자 자신이 필요한 인재를 상부의 지침없이 뽑는다는 점에서  합리적 인재충원 방식이 될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줄이고, 각자 필요한 인원을 각 계열사들이 알아서 뽑는 구조는 각사 인적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