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자동차 대리점 비율 높아지면서 소비자불만 '부글부글'
상태바
자동차 대리점 비율 높아지면서 소비자불만 '부글부글'
과도한 영업 경쟁 부작용 우려, 현실로 드러나
  • 박관훈 기자 open@csnews.co.kr
  • 승인 2017.08.22 0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2명 상대 고의 사기 행각 영업사원 잠적, 개인 문제? 부산시 사하구에 사는 천 모(여)씨는 지난 4월 르노삼성 대리점을 통해 2천400만 원 상당의 QM3를 구매했다. 당시 천 씨는 “처음 한 달만 차 값을 할부로 지불하고 이후에 일시불로 전환하면 할부 수당으로 혜택을 더해 주겠다”는 영업사원의 설명에 따라 할부 계약을 맺고 영업사원이 알려준 계좌로 나머지 금액 2천300만 원을 입금했다. 몇 달이 지나도록 월 할부액 70만 원이 계속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이상한 낌새를 챘을 때는 영업사원이 퇴사한 후였다. 천 씨에 따르면 이 영업사원에게 사기 당한 피해자만 12명에 달하지만 대리점 측은 “개인 금융 사고라 책임질 수 있는 부분이 없다”는 답변만을 내놓고 있다.

# 불량 차량 넘겨주고 모르쇠 경기도 안성시에 사는 임 모(남)씨는 지난 4월 평택에 있는 쉐보레 대리점에서 올 뉴 말리부를 3천500만 원에 구매했다. 당시 출고된 차량은 본네트가 제대로 닫히지 않고 전방 센서와 전방카메라가 고장난 상태였다. 대리점에 수리를 요청했지만 ‘부품 수급 지연’을 핑계로 수리를 차일피일 미루더니 이후에는 전화도 잘 받지 않았다. 임 씨는 “출고 당시 임시번호판도 안해줘서 교환도 못하고 있다. 고객센터에 연락을 해도 답변도 없고 연락을 안 해주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 판매 위해 생산일도 위조 부산시 남천동에 사는 김 모(남)씨는 지난달 차량 구매를 위해 방문했던 현대차 대리점에서 ‘색상 문제로 가격을 120만 원 추가 할인’한 차량을 소개받았다. 6월에 생산된 모델이라고 영업사원의 말을 믿고 차 값을 일시불로 지불했다. 하지만 일주일 뒤 인도받은 차량은 먼지가 뿌옇게 쌓여있고 범퍼에 흠집까지 나 있을 정도로 상태가 불량했다. 이상하게 생각한 김 씨가 영업사원에게 생산 월이 6월이 맞는지 묻자 그제야 3월에 생산된 차량이라고 실토했다고. 김 씨는 “차를 팔기 위해 거짓정보를 제공한 책임을 물어 차를 교환받고 싶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국산 자동차 판매 영업소 대리점 직원과의 분쟁, 사기 등으로 피해를 입었다는 소비자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영업사원이 소비자에게 판매전 차량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거나 결함이 있는 차량을 판매, 또는 사은품 등 사전에 약속한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다.

국내 완성차 업체는 대부분 차량 판매영업소를 지점(직영)과 대리점(개인) 2가지 형태로 운영한다. 본사소속 직원인 지점에 비해 개인사업자 소속인 대리점 직원은 관리가 쉽지 않은 구조라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이 때문에 소비자와의 사이에서 사기나 분쟁 등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인 보상이나 문제 처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많다.

◆ 대리점 비율 높아지며 과도한 영업 경쟁 부작용 우려..."본사 통제 가능" 반박

최근 완성차 업체들은 지점 대비 대리점 비율을 점차 늘리고 있는 추세다.

지점 비율이 대리점보다 높은 곳은 현대차가 유일했다. 총 806개의 판매영업소 중 지점이 425개, 대리점이 381개였다.

반면 한국지엠은 경우 302개의 영업소가 모두 대리점 형태였고 나머지 쌍용차가 르노삼성, 기아차 역시 대리점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캡처2.JPG

르노삼성 관계자는 “회사의 경영방침으로 매년 대리점 숫자가 늘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대리점에 소속된 영업사원들이 판매에 전문화돼 있어 실적도 더 좋은 편”이라고 말했다.

쌍용차 관계자 역시 “과거 쌍용그룹 당시에는 직영 판매점만 운영했지만 몇 차례 회사의 주인이 바뀌면서 영업소 형태가 달라졌다”면서 “전국에 200여개의 판매영업소가 있는데 현재는 1개의 플래그십 매장을 제외한 모든 매장이 대리점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처럼 대리점 형태의 판매가 늘어날 경우 인센티브 체계 아래 영업사원간의 과도한 경쟁과 무리한 판매행태로 인해 소비자가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업계 안팎의 우려다. 실제로 수입(제조)과 판매가 이원화된 수입차 업계에서는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국산차를 구매할 때에는 반드시 대리점이 아닌 직영지점을 통해야 한다”고 조언하는 소비자 게시글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반면 현대차, 기아차, 한국지엠, 르노삼성, 쌍용차 등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대리점과의 최초 계약 시 강력한 내부 규정으로 상호 협의를 맺는 등 충분히 통제가 가능하는 입장이다. 본사 차원의 직원 교육도 수시로 진행하는 등 대리점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2년 전 쯤부터 직판 계약을 종료하고, 전 매장을 대리점 체제로 운영하고 있다”면서 “3개의 본부가 지역별로 6개 권역을 나눠서 영업직원을 관리하는데, 각 허브별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정규직 직원들이 파견을 나가는 등 영업대리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영업사원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가 부평에 따로 있다”면서 “워크샵 등 다양한 커리큘럼을 통해 판매와 서비스 전반에 대한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기아차 관계자 역시 “지점과 대리점에 동일한 매뉴얼을 가지고 직원 교육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본사 차원에서 정도 경영을 강조하고, 대리점 직원 교육을 철저히 하고 있다”면서 “대리점 역시 최초 계약 시 맺은 내부 규정을 철저히 따르고 있어 통제나 관리에 큰 무리는 없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