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대출 세일로 인기몰이 성공한 카카오뱅크·K뱅크, '연체 리스크' 문제 없나?
상태바
대출 세일로 인기몰이 성공한 카카오뱅크·K뱅크, '연체 리스크' 문제 없나?
  • 김정래 기자 kjl@csnews.co.kr
  • 승인 2017.08.16 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강남구 잠원동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 모씨(연봉 5천만 원 중반대)는 카카오뱅크에서 마이너스대출 500만 원을 4%금리대에 받았다. 이미 전제자금으로 1억2천만 원과 개인신용대출 5천만 원이 있어 대출이 안 나올 것으로 예상했으나 뜻밖에 500만 원이나 대출이 가능해 바로 대출을 신청했다. 마이너스 통장은 매일 사용한 금액에서만 이자가 발생하기 때문에 미리 받아두어도 이자 부담이 적었기 때문이다.

#서울에서 한 시중은행에 근무하는 박 모씨(연봉 8천만 원대)는 지난 4월 케이뱅크가 출범하자마자 마이너스통장으로 300만 원을 4%금리대에 대출받았다. 박 씨 역시 다른 시중은행에서 2억5천 만원이 훌쩍 넘는 대출금이 있었지만 케이뱅크에서는 마이너스대출이 가능했다.

인터넷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김 씨와 박 씨 모두 시중은행에서는 대출을 거절당했었다. 가계부채 문제로 여신심사가 까다로워져 이전 대출금 이력이 발목을 잡았기 때문이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에 고객이 몰려 대출자금이 바닥을 드러낼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시중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출심사가 느슨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부실대출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수익성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출범과 동시에 이슈를 몰고 다니는 카카오뱅크의 경우 카카오톡이 가진 모바일 활동 DB를 활용해 차별화된 신용평가시스템(CSS)을 만들 수 있고 이를 통해 기존 금융사가 실패한 중금리 대출시장에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호언한 바 있다.

하지만 카카오뱅크는 기존 은행이 사용하는 나이스평가정보와 KCB에 의존하고 있어 차별화된 CSS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도 “주주사인 카카오나 KB국민은행·이베이 등이 보유한 정보(DB)를 활용하는 양은 아직 많지 않다”며 CSS 구축의 미흡함을 인정했다. 

한 시중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지난 2002년 ‘카드대란 사태’를 언급하며 인터넷뱅크의 리스크관리에 우려를 표했다. 당시 정부는 위축된 경기를 되살리고 세수를 늘리기 위해 신용카드 사용 활성화라는 경기부양책을 마련했고, 카드사들은 신규 카드 발급과 자사 브랜드 파워 높이기에 혈안이 돼 수입도 없는 대학생들까지 신용카드를 발급했다. 그 결과 대규모 카드 연체가 발생했고 최대 360만 명의 신용불량자가 생겼다.

인터넷은행이 적절한 리스크관리를 하지 못할 경우 이 같은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통상적으로 인터넷은행의 경우 안정적인 대출 공급이 가능한 대출잔액을 예금 잔액의 80%(예대율) 정도로 잡고 있다. 

케이뱅크는 대표적인 대출 상품인 '직장인 K'의 발급을 중단했을 당시 예대율이 90% 초반대였다. 케이뱅크측은 다음달 1천억 원, 연내 1천500억 원 총 2천500억 원의 유상증자를 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출범 2주 200만 계좌 돌파했고 고객들이 예·적금을 통해 카카오뱅크에 맡긴 돈은 6천530억 원이며 빌린 돈(대출 실행 금액 기준)은 4천970억 원이다. 예대율은 약 76% 수준이다. 

이미 카카오뱅크는 지난 11일 이사회를 열고 5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당초 내년 초에 유상증자를 할 계획이었으나, 대출 세일로 인한 예대율 증가로 인해 유상증자 계획이 앞당겨진 것이다. 

업계에서는 출범 2주만에 유상증자를 결정한 카카오뱅크의 행보에 예견된 일이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저축은행과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저신용자(신용등급 8~10등급) 가운데 8등급에도 마이너스대출을 해주겠다는 ‘대출세일 전략’이 무모한 도전이라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됐기 때문이다. 

시중은행도 8등급 대출의 경우 10% 내외, 저축은행은 20% 내외의 금리를 제시하는 상황에서 카카오뱅크가 한 자릿수의 대출금리를 제시하면 수익성은 물론 축적된 신용 데이터베이스(DB) 부족으로 제대로 된 여신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실제 우리은행(행장 이광구)도 중금리 대출시장을 겨냥해 상품을 출시했지만 연체율은 출시 1년여 만인 지난해 5월 3.53%까지 치솟는 등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금융업의 성패는 연체율 관리에 있기 때문에 리스크가 증대되면 결국 인터넷은행들은 이미 소비자들이 받은 대출상품의 금리를 높이는 방법으로 연체 대출에 대한 리스크를 타개하거나, 당초 공언과는 달리 저신용자를 외면하고 우량 신용자에 대한 대출 쏠림이 심화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미국에서도 37개의 인터넷은행이 문을 열었지만 이 중 13개가 대출부실로 중도 퇴출됐다”며 “파산한 인터넷은행 대부분은 무리한 대출 확대로 연체율이 급격히 늘어났기 때문에 금융당국이 연체율 관리 등을 유심히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