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KB국민은행, 착오송금 규모 최대...NH농협, 반환율 제일 높아
상태바
KB국민은행, 착오송금 규모 최대...NH농협, 반환율 제일 높아
  • 김정래 기자 kjl@csnews.co.kr
  • 승인 2017.10.12 08: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6대 시중은행 가운데 최근 6년간 엉뚱한 계좌로 돈을 잘못 보내는 '착오송금' 규모가 가장 큰 곳은 KB국민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IBK,기업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대부분의 은행들이 1천억 원 이상의 착오송금을 기록했다.

은행어플리케이션 보급과 인터넷뱅킹의 확산이 착오송금 증가의 주요인으로 꼽혔다.

착오송금액.jpg


12일 은행권과 김한표 자유한국당 의원실에 따르면 6대 시중은행의 2012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착오송금액은 KB국민은행(행장 윤종규)이 1천886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IBK기업은행(행장 김도진) 1천326억 원, 신한은행(행장 위성호) 1천234억 원, KEB하나은행(행장 함영주) 1천74억 원, 우리은행(행장 이광구) 1천1억 원, NH농협은행(행장 이경섭)896억 원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먼저 KB국민은행은 2012년 293억 원의 착오송금액이 발생했으며 2015년에는 416억 원까지 치솟았다.  KB국민은행은 올 해 상반기에도 6대 은행 중 가장 많은 204억 원을 기록했다. 

1천326억 원으로 2위를 차지한 IBK기업은행은 2012년부터 꾸준히 상승해 263억 원까지 치솟았던 착오송금액이 2015년 201억 원으로 60억 원 가까이 감소했으나 2016년 232억 원에 이어 올 해 상반기에만 150억 원을 기록해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어 신한은행은 2012년 154억 원, 2013년 195억 원, 2014년 231억 원, 2015년 268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착오송금액이 상승했으며 올 해 상반기 118억 원을 기록해 2016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KEB하나은행은 2012년 134억 원이던 착오송금액이 해마다 급등과 급락을 거쳐 지난 2016년에는 240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이미 133억 원의 착오송금이 발생했다. 

우리은행 역시 2012년 185억 원, 2013년 148억 원, 2014년 167억 원이던 착오송금액이 2015년 이후 200억 원을 넘어서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6대 시중은행 중 가장 적은 89억 원의 착오송금액을 기록했다.  

착오 반환률.jpg

은행별 착오송금 반환율을 살펴보면 돈을 돌려 받은 경우가 절반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한 경우 반환율이 30%를 밑돌았다. 

착오송금액이 가장 많았던 KB국민은행은 2014년까지 40%대를 유지했으나 2015년과 2016년 30% 중반대로 급락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착오송금은 일단 발생하면 사후 조치로 은행이 할 수 있는 역할이 거의 없다. 착오송금을 막기 위해 비대면 채널에서 이체 시 2차 3차로 확인 절차를 거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현재로써는 소비자들이 착오송금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최선이다”라고 말했다.

NH농협은행은 반환율이 6대 시중은행 중 가장 높은 47.3%를 기록했으나, 역시 이용자 절반 이상이 착오송금액을 돌려받지 못했다. 이어 IBK기업은행은 46.9%, 신한은행 45.1%, 우리 40.7%를 기록했다.

KEB하나은행은 29.9%를 기록해 반환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소비자에게 최대한 반환해주려고 노력하고 있으나, 결국 반환은 수취인측 은행에서 결정을 해줘야 하는 부분이다 보니, 경우에 따라서 반환률이 높기도 하고 낮기도 하다”고 해명했다.

이처럼 착오송금이 발생하면 수취인에게 반환요청을 하게 된다. 이때 수취인이 반환을 거부하거나 휴면계좌 혹은 압류된 계좌일 경우 돈을 돌려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만약 수취인이 자발적으로 반환하지 않으면 착오송금을 한 소비자가 소송으로 환급받아야 한다. 반환청구소송을 진행할 경우 반환받게 될 비용보다 소송비용이 더 소요되는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