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금융지주 지배구조개선 논의 한국투자금융지주에 불똥...김남구 부회장 입지는?
상태바
금융지주 지배구조개선 논의 한국투자금융지주에 불똥...김남구 부회장 입지는?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18.03.21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당국이 금융지주회사들의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압박수위를 높이면서 한국투자금융지주가 곤란한 상황에 놓였다.

최근 금융당국은 금융회사 사외이사나 감사위원을 추천하는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에 최고경영자(CEO)의 참여를 배제하는 내용을 포함한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방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로 인해 한국투자금융그룹의 오너인 김남구 부회장의 입지가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카카오은행과 우리은행 지분을 보유한 한국투자금융지주는 최대주주이자 대표이사인 김남구 부회장이 이사회 의장과 경영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하고 있고 임추위원으로도 이름을 올리고 있다. 

오너가 없는 다른 금융지주사의 경우 회장이 공개선임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체되는 것과 달리, 한국투자금융지주는 오너가 인사권을 비롯한 경영권을 장악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투자금융지주의 특수성을 감안하지 않고 일률적인 규제를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이번 기회에 다른 금융지주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지배구조를 개선해야한다는 목소리도 팽팽하다. 

◆ 김남구 부회장 최대주주... 지주-증권 이사회 의장·임추위 참여

현재 한국투자금융지주의 최대주주는 지분 20.23%를 보유하고 있는 김 부회장이다. 한국투자금융지주는 회장직을 두지 않고 김 부회장이 대표이사이자 오너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한국투자금융지주는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저축은행 등 주요 자회사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어 지주의 최대주주인 김 부회장으로 권한이 집중돼있는 구조다.  

180320001.png

김 부회장은 한국투자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뿐 아니라 경영위원회 위원장과 임추위 위원으로도 이름을 올리고 있는데 특히 김 부회장은 한국투자금융지주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에서도 부회장을 겸직하면서 동일하게 이사회 소속으로 경영위원회 위원장과 임추위원을 맡고 있다. 

은행지주사는 아니지만 오너 지분이 60% 이상으로 매우 높은 메리츠금융지주(대표 김용범)는 최대주주인 조정호 회장이 지주 이사회 구성원이지만 임추위 명단에는 제외돼있고 메리츠화재(대표 김용범), 메리츠종금증권(대표 최희문) 등 계열사 이사진으로도 이름을 올리지 않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업계에서는 한국투자금융지주의 이사진 구성도 주목하고 있다.

현재 한국투자금융지주 사외이사로 활동중인 배종석, 이상철, 호바트 리 엡스타인, 김재환 사외이사는 한국투자증권 사외이사를 겸직하고 있는데 사내이사 역시 3명 중 김남구 부회장과 이강행 부사장이 겸직중이어서 사실상 두 회사의 이사회 구성이 사실상 같다는 지적이다. 다만 지배구조법상 사외이사 겸직은 문제되지 않는다. 

180320002.png

이와 달리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대표이사의 회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회추위)나 사장후보추천위원회(이하 사추위) 참여를 원천 배제하고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을 높여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작업에 나서고 있다.

최근 금융권에서 회추위 참여로 셀프연임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자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과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은 회추위·사추위 참여를 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물러나면서 은행지주사 중에서 임추위(또는 회추위)에 대표이사가 참여하는 경우는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김 부회장 뿐이다.

한편 금융당국은 은행지주사로 분류된 한국투자금융지주에 대한 지배구조 검사를 상반기 중에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오너 기업으로 시작된 특성상 오너에 집중된 권력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올해부터 은행지주사로 분류된 한국투자금융지주 입장에서도 뾰족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다.

오너의 지분이 없는 다른 금융지주사들과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해야하는지에 대한 문제도 남아있는 것은 사실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국투자금융지주는 오너기업으로 일반적인 금융지주사와는 지배구조가 달라 내부적으로도 고심이 많을 것"이라면서 "금융당국의 방침이 아직 입법예고 단계이기 때문에 향후 추이를 지켜보면서 대책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