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애플, 한국소비자 홀대 이어 협력사 '갑질'로 논란
상태바
애플, 한국소비자 홀대 이어 협력사 '갑질'로 논란
공정위 '거래상 지위남용' 혐의로 12일 첫 심의
  • 유성용 기자 sy@csnews.co.kr
  • 승인 2018.12.11 07: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에서 고압적인 소비자 응대로 원성을 사고 있는 애플코리아가 협력사에 대한 갑질로 논란을 빚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2일 애플코리아의 '거래상 지위남용' 혐의에 대한  첫 전원회의를 열고 징계여부와 그 수위를 논의할 예정이다.

◆ 이통사, 대리점 등 협력사 발 아래 둔 애플코리아

애플코리아는 국내 협력사들에 대한 거래상 지위를 남용해 막대한 비용을 아껴왔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애플코리아는 거래상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통3사에 TV 광고비와 제품 수리비용, 대리점 판매대 설치비용 등을 떠넘겼다는 지적을 받는다.

아이폰 TV광고의 경우 통신사 로고는 광고 끝에 1~2초 정도 잠깐 등장하는 게 전부임에도 광고 비용은 통신사들이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통3사가 2009년 국내에 아이폰이 도입된 후 지금까지 1600억 원 이상의 광고비를 부담해 온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 외에도 애플코리아는 비용은 내지 않으면서 통신사별 신제품 출시행사에 관여하는 등의 갑질행위를 해왔다는 혐의를 공정위로부터 받고 있다.

이에 따라 12일 공정위 전원회의에서는 애플코리아의 거래상 지위남용 혐의에 대한 첫 심의가 진행된다. 애플코리아가 공정위로부터 정식으로 전원회의 심판을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6년 공정위가 애플코리아의 갑질 사건을 조사한 지 2년여 만의 일이다.

애플코리아는 “계약에 따라 정당한 거래가 이뤄진 것”이라는 입장이다. 지난 10월 국회 국정감사장에 출석한 브랜든윤 애플코리아 대표는 각종 질의에 “모른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이통사는 애플과 3년마다 판매 계약을 체결하는데 비밀보호 계약이기 때문에 광고비 등 세부 내역에 대해선 공개 할 수 없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아이폰 도입 후 처음부터 이통사에서 애플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안다”며 “각 사별로 5:3:2의 시장점유율과 무관하게 애플과 별도 기준에 따라 금액을 부담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아이폰 충성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애플에 저자세로 대응해왔다는 것이다.

애플코리아는 이통사뿐 아니라 통신대리점에 대해서도 갑질 행위를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에 따르면 통신대리점은 애플이 출고가 70%에 제공하는 시연용 제품을 구입하지 않으면 해당 단말기를 팔지 못한다고 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시연폰을 무상 제공한 뒤에 회수해 간다.

대리점은 아이폰XS·XS맥스·XR 3개 모델을 구비해야 하며 약 270만 원의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용량과 색상별로 모두 구비할 경우 비용은 600만 원까지 오른다. 이통3사 대리점 전체로 따져보면 애플코리아는 시연폰 강매만으로 수백억 원을 챙긴다는 계산이다.

매장 내에 아이폰 시제품과 홍보 포스터 전시 위치도 애플의 점검을 받아야 한다고 한다.

◆ 충성심 높은 한국 소비자는 봉...가격은 높게, 서비스는 낮게

애플은 오래 전부터 한국에서 막대한 수익을 거두면서도 국내 소비자들을 홀대한다는 원성을 사고 있다.

최근 출시된 아이폰XS 맥스 512GB의 국내 가격은 198만 원으로 일본의 178만 원보다 20만 원이나 비싸다.

가격은 비싼 데 비해 국내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부실하다.

국내 소비자는 한·중·일 3국 중 유일하게 아이폰으로 교통카드나 애플페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다. 아이폰에 NFC 칩이 적용은 돼 있으나 삼성·LG와 달리 개발자들에게 사용 권한을 개방하지 않아 ‘티머니 어플리케이션’ 등 결제 기반 서비스 개발이 어려운 탓이다.

최근에는 애플코리아가 국내 소비자들의 파손 보험격인 애플케어플러스 가입 차단에 나서며 빈축을 샀다. 애플케어플러스에 이미 가입한 기기 대상으로 수리도 더 이상 제공하지 않을 방침으로 알려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상에서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목소리가 높지만 애플코리아는 갑작스런 정책 변경에 대해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애플의 고자세는 불만을 토로하는 서비스센터에서도 어렵지 않게 사례를 찾을 수 있다.

524956_167112_1350.jpg
▲ 흠집을 이유로 교환이 거절된 윤 씨의 아이폰.

경기도 광주에 살고 있는 윤 모(남)씨는 지난 2월 아이폰8을 개통한지 얼마 안돼 전화가 오면 화면이 보이지 않거나 받을 수 없는 오류가 자주 발생해 서비스센터를 방문했다. 구매 한 달 이내에 발생한 고장으로 리퍼제품을 받았지만 똑같은 현상이 반복됐다. 윤 씨는 “다시 찾은 서비스센터에서 ‘제품에 흠집이 있어 교환이 어렵다’는 안내를 받았는데 깨진 것도 아니고 실금에 불과하다”며 부당함을 주장했다.

이처럼 애플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은 제품 고장이나 불량에 집중된 국내 제조사들과 달리 민원 해결 방식에 집중되어 있다. 아이폰 결함으로 시작된 불만은 결국 애플의 고객 대응 행태에 대한 문제 지적으로 귀결된다. 애플이 국내에 진출한지 10년이 됐지만 변화는 없다.

지난달 애플코리아는 아이폰X 일부 제품의 터치 오작동 결함을 인정하고 디스플레이 무상교체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홈페이지에서 이 같은 내용을 찾기 위해선 소비자가 고객지원 페이지로 들어가 관련 내용을 검색해야 한다. 팝업 등의 알림은 없다. 아이폰X로 검색할 경우 무상교환에 대한 공지글이 상단에 나오지도 않는다. ‘아이폰X 터치’라고 상세히 검색해야 한다.

공정위의 전원회의는 12일 처음 열리지만 그날 애플에 대한 제재 수위가 정해질 가능성은 낮다.

국내 기업은 첫 심의에서 바로 결론나는 경우가 많지만 외국계 기업은 수차례 심의를 거치는 경우가 보통이다. 지난 2016년 퀄컴의 특허 갑질 사건 당시에도 공정위는 5개월 동안 전원회의를 7번이나 열고서야 과징금 부과를 확정했다.

한편 애플코리아는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약 3조4000억 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애플코리아는 실적보고서를 내지 않아 매출 규모가 베일에 가려져 있다. 당연히 본사로 얼만큼을 배당하는지도 알려져 있지 않다. 애플 본사의 영업이익률이 30% 이상인 점에 비춰 지난해의 경우 1조 원 이상이 본사로 배당됐을 것이란 추측만 가능하다.

국내 500대 기업의 연간 매출은 약 8000억 원 수준이다. 애플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국내 기업 중 150위 권에 해당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