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저축은행 순이익 지역별 명암 갈려...서울 50% 늘고, 경남권 40% 줄어
상태바
저축은행 순이익 지역별 명암 갈려...서울 50% 늘고, 경남권 40% 줄어
  • 황두현 기자 hwangdoo@csnews.co.kr
  • 승인 2018.12.13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저축은행의 수익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도권에 자리한 저축은행의 수익은 대폭 개선됐고 특히 서울 지역 저축은행은 순이익이 지난해보다 50% 가까이 늘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부산·울산·경남지역 12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401억 원으로 지난해 686억 원보다 41.5%(285억원) 줄었다. 개별 저축은행의 평균 순이익도 34억 원으로 총 저축은행 평균인 71억 원의 절반 가량에 불과했다. 특히 2번째로 자산규모가 큰 BNK저축은행은 4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지역 저축은행의 수익은 대폭 악화됐다. 7개 저축은행이 위치한 충청지역은 지난해보다 22% 줄어든 339억 원을 벌었다. 대구·경북 지역도 15% 줄어 150억 원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 저축은행이 벌어든 순이익은 1081억 원으로 상반기 저축은행 총 수익의 10%에 불과했다. 
제목 없음.jpg

반면 서울지역 23개 저축은행의 순이이은 3061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47.8%(985억원) 늘었다. 평균 당기순이익도 133억 원으로 업계 평균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은 502억 원을 거둬 웬만한 지역의 총 순이익과 맞먹었다. 인천·경기의 19개 저축은행도 6.6% 늘어난 149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대형과 중소형으로 나뉜 저축은행의 양극화로 극심해지고 있다. 총자산 2조원이 넘는 초대형 저축은행 8곳이 전부 수도권에 몰려있고 이들이 벌어들인 순이익은 2344억 원으로 전체의 절반에 달한다. 반면 지역에는 IBK저축은행과 아주저축은행만이 1조 원을 간신히 넘겼다. 

문제는 조선·자동차 등 제조업의 불황이 이어지면서 지방저축은행의 사정이 나아질 기미가 업다는 점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제조업 고용인원은 지난해 35만 1390명에서 올 상반기에는 33만 4078 명으로 줄었다. 국가산업단지의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2012년 84.7%에서 올해는 79.3%로 떨어졌다. 가동률은 80% 이상이 되어야 수익이 난다고 보고 있다. 

지역 중소형 저축은행의 어려움이 계속되면서 업계는 권역별 의무대출비율과 인수합병 규제 완화를 줄곧 요구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권역별 규제 해소를 골자로 금융당국에 규제개선을 요청하기도 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권역별 규제를 확대하면 전국 단위 영업이 가능해진다"며 불허했다. 

이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의 발단이 저축은행 간의 무절제한 영업구역 확대 및 인수합병에서 시작됐기 때문이다. 이 사태를 계기로 금융당국은 본점 소재지를 6개 권역으로 나누고 서울·인천·경기는 50%, 나머지는 40%의 의무대출 비율을 설정했다. 동일 대주주가 3개 이상 저축은행을 소유하지 못하도록 인수합병도 제한했다.

저축은행업계는 이러한 규정이 서민금융기관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든다는 입장이다. 지역 저축은행의 어려움은 고스란히 지역민에게 전해진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대로 두면 지방저축은행의 고사는 불보듯 뻔하다"고 토로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황두현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