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정부 억제에도 시중은행 가계대출 8% 증가...KB국민·우리은행 등 5곳 100조 넘겨
상태바
정부 억제에도 시중은행 가계대출 8% 증가...KB국민·우리은행 등 5곳 100조 넘겨
  • 박관훈 기자 open@csnews.co.kr
  • 승인 2019.05.17 0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억제 정책에도 지난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대부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8개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 총액은 712조638억 원으로 전년 659조5271억 원에 비해 8%(52조5367억 원) 늘었다.

18개 은행 중 KDB산업은행(행장 이동걸), 씨티은행(행장 박진회), 광주은행(행장 송종욱), SC제일은행(행장 박종복), 전북은행(행장 임용택)을 제외한 13개 은행의 가계대출이 늘었다. 가계대출만을 취급하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를 빼고도 11개 은행에 달한다.

은행별 가계 대출 현황.JPG
가계대출 잔액이 가장 많은 곳은 KB국민은행(행장 허인)으로 141조2624억 원을 기록했다. 우리은행(행장 손태승)과 KEB하나은행(행장 지서규), 신한은행(행장 진옥동), NH농협은행(행장 이대훈)도 가계대출 잔액이 100조 원을 넘겼다. 전년도 같은 기간 가계대출 잔액이 100조 원을 넘는 곳은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두 곳 뿐이었다.

그 뒤를 이어 IBK기업은행(행장 김도진) 33조3695억 원, SC제일은행 24조8833억 원, 수협은행, 부산은행(행장 빈대인), 씨티은행 순으로 대출 잔액이 많았다.

가계대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카카오뱅크(대표 이용우, 윤호영)로 전년 대비 무려 96.5%(4조4608억 원)나 증가했다. 다만 카카오뱅크의 경우 현재 기업대출을 취급하지 않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시중은행과의 직접 비교는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카카오뱅크의 가계대출 총액은 9조826억 원으로 5대 은행을 비롯한 주요 은행에는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다.

카카오뱅크 다음으로 증가율이 높은 곳은 수협은행(행장 이동빈)으로 52.6%(4조1583억 원) 증가했다. 수협은행의 경우 리테일(소매) 금융을 중심으로 대출을 늘리면서 가계대출이 대폭 늘었다. 지난해 개인고객수가 크게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당행의 경우 기업 대출과 가계 대출 비중이 7대3 정도였다”면서 “지난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리테일 금융의 대출 비중을 늘렸고 5대5 정도로 조정되면서 가계대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지난해 개인 고객수가 32만 명 정도 늘었는데 그런 부분도 가계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덧붙였다.

◆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 둔화 지속될 것”...6월부터 제2금융권 DSR 시행

은행권은 앞으로 가계대출이 줄어들지는 않겠지만 증가세는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중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4조5000억 원에 그치며 전년 대비 6000억 원 축소됐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집단대출 확대 등에 따라 증가액이 3조6000억 원에 달하며 전년(2조5000억 원) 보다 1조1000억 원 많았지만 기타대출은 9000억 원에 그치며 1조8000억 원 줄었다. 기타대출 중 신용대출 증가액은 1조 원으로 전년(1조3000억 원) 대비 3000억 원 축소됐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금융 당국이 지난 2017년부터 총부채상환비율(DTI),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등 대출규제 정책을 시행하면서 가계대출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면서 “향후에도 이 같은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수협은행 관계자 역시 “당행 역시 작년 말부터는 가계 대출을 억제하는 금융당국의 기조를 따르고 있어 올해의 경우 가계대출 증가폭이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당국 역시 가계대출 억제 정책으로 증가세가 둔화되는 효과를 봤다고 강조하고 있다. 향후에도 가계 대출 증가세를 ‘5%대’로 억제해 관리를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금융위 김용범 부위원장은 “금융권 가계부채 증가율이 2017년 8.1%에 이어 작년에는 5.8%로 확연히 낮아져 증가세가 크게 안정화됐다”며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목표를 ‘5%대’로 설정하고, 상황에 따라 관리감독의 강도를 조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은행권의 경우, DSR 도입으로 차주의 상환능력에 기반한 대출관행이 정착되고 있다”면서 “6월부터 제2금융권에도 DSR 관리지표를 도입해 은행권과 같은 형태로 평균DSR, 高DSR 취급 비중에 관한 지표를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