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ELS 사태 은행권에 불똥?...금융당국 "불완전판매 예의주시"
상태바
ELS 사태 은행권에 불똥?...금융당국 "불완전판매 예의주시"
  • 윤주애 기자 tree@csnews.co.kr
  • 승인 2016.02.17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항생중국기업지수(이하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주가연계증권(ELS)의 손실가능성이 현실화 되면서 은행권이 긴장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불완전판매로 금융소비자에게 피해를 끼친 곳이 있는지를 살필 방침이어서 ELS가 금융권에 시한폭탄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19일을 기준으로 H지수 ELS 잔액은 37조 원이었다. 이 중 절반 가량을 은행들이 팔았다. 은행들은 ELS를 주가연계신탁(ELT)이나 주가연계펀드(ELF) 등으로 포장해 팔았다. 이름은 다르지만 모두 ELS 구조로 수익을 낸다. 

H지수 급락으로 손실발생가능(녹인) 구간에 접어든 물량이 3조 원을 넘어서면서 투자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지난해 계약한 ELS 상품은 만기가 2018년까지 남았지만 손실사태가 현실화된 물량은 원금조차 건지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최근 몇년간 저금리로 이자수익이 시원치 않자 비이자이익을 늘리기 위해 보험, 증권 등의 상품을 경쟁적으로 팔았다. 개인 고객수가 가장 많은 KB국민은행이 지난해 ELS를 10조 원 이상 팔았고,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 등도 수조 원어치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은행들이 ELS를 판매하면서 고객들의 투자성향보다 높은 고수익고위험 상품을 팔면서 불완전판매를 했느냐에 있다.

증권사 영업점포는 1천개 정도인데 반해 은행 점포는 전국적으로 7천개가 넘는다. 은행이 증권사보다 고객에 대한 접점이 넓은 것은 장점이지만, 투자성향이 보수적인게 관건이다. 

은행들은 지난해 ELS를 판매하면서 '부적합금융상품거래확인서' '투자권유불원확인서' 등의 서류에 고객 서명을 받았다.

전자는 고객의 투자성향보다 높은 등급의 상품이지만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내용이고, 후자는 은행 창구직원이 고위험상품의 판매를 권유하지 않았다는 확인서다. 손실이 났을 때 은행들이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이다.

금융당국은 ELS 사태로 증권사들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라면서도 손실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ELS 투자자 중 30%가 장년층이라는 점을 감안해 불완전판매가 이뤄진 요소가 있는지 주목하고 있다.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은행 창구 직원이 ELS를 판매하면서 "수익률이 높으면서도 원금을 보장한다" "조기상환이 가능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ELS 상품 상당수가 원금을 절반이나 까먹는 등 손실구간에 들어가면서 조기상환은 어불성설이 됐다. 손실을 보고 해지를 하느냐, 아니면 만기가 될 때까지 H지수가 오르길 기도하느냐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H지수 기초자산 가격이 매우 빠른 속도로 급락하고 헤지거래를 위한 파생상품의 유동성이 급격히 줄어드는 경우 헤지과정에서 일부 손실을 볼 가능성은 있으나 그 규모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ELS를 판매하는 과정에서 불완전판매 사례가 있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들이 책임회피용으로 부적합확인서를 남용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투자성 상품을 판매할 때 고객에 대한 특정상품 권유사유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적합성 보고서'를 활성화시킬 계획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