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포스코입찰 자격 인정or 유찰은 '짜고 치는 고스톱'"
대우조선해양 입찰에 참여한 포스코가 GS와 가격 합의를 보지 못해 컨소시엄 결렬이 예상된 상황에서도 인수제안서를 낸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임병용 GS홀딩스 부사장은 14일 GS타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인수 제안서를 내기 전 가격 합의를 보지 못했으나 포스코는 인수 제안서를 냈다"고 밝혔다.
결국 포스코는 컨소시엄의 또다른 축인 GS와 가격 협상이 결렬돼 컨소시엄 자체가 사실상 깨진 상태에서 GS와 공동 명의의 입찰 제안서를 냈다는 결론이다.
따라서 산업은행이 포스코의 입찰 자격을 인정할 경우 큰 특혜 파문이 예상된다. 입찰을 모두 유찰시키고 새로 시작해도 똑 같은 비난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입찰 자체가 포스코에게 유리하게 맞춰진 '짜고 치는 고스톱'이란 비난이 쏟아질 가능성이 높다. 한화그룹은 벌써부터 포스코에게 자격이 부여되거나 유찰되면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목청을 높히고 있다.
이 때문에 GS는 대우조선해양 본입찰 마감일인 13일 오후 포스코가 인수제안서를 제출한 직후 산업은행에 "포스코가 써 낸 입찰가격은 우리 뜻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별도의 서류를 제출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컨소시엄의 양축인 포스코는 인수제안서를, GS는 인수가격에 부정적인 서류를 별도로 제출하는등 '콩가루집안'코미디를 연출한 셈이다.
두 회사가 고려 중인 입찰가격은 무려 2조원이나 차이가 났던 것으로알려지고 있다.
포스코측은 "GS가 고려중인 가격으로는 입찰 승산이 없다"고 GS를 압박했지만 GS는 대우조선 기업가치에 비추어 포스코의 제안가격이 무리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본입찰 서류 마감시간인 오후 3시까지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자 결국 포스코는 단독으로 가격을 입찰서류에 써 넣었고 이에 반발해 GS은 컨소시엄 결렬을 선언했다.
결국 컨소시엄을 구성했지만 파트너를 무시한채 일방적으로 입찰 가격을 써넣고 컨소시엄의 결렬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무리하게 컨소시엄 이름으로 인수제안서를 제출한 포스코의 정당성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법조계에서도 포스코가 결렬로 치닫는 상황을 이미 알고 있었음에도 일방적으로 인수제안서를 냈다는 점 때문에 단독 입찰로 선회한 포스코의 자격 여부에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