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세수' '쥐어 짜기' 여드름 치료 효과 '꽝~'
많은 여드름 환자들이 주로 의존하고 있는 세수 자주 하기, 여드름 짜기는 치료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여드름학회(회장 김광중)와 서울대병원 피부과 서대헌 교수팀이 2006년 한해 서울대병원 등 17개 대학병원 피부과를 찾은 1236명의 여드름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환자들이 여드름 자가 치료법으로 세수 자주하기(57%), 스스로 여드름 짜기(46%), 물 더 마시기(18%), 민간요법(12%) 등 효과가 없는 방법을 많이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서교수팀이 8일 밝혔다.
이 연구 논문은 대한의과학회지 12월호에 게재됐다.
특히 세수 자주하기와 여드름 직접 짜기의 경우 여드름 치료에 전혀 효과가 없다는 게 학회의 설명이다.
서대헌 교수는 "여드름과 세수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 세수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여드름 환자도 세수는 하루에 2번 정도면 충분하다"며 "반드시 피부과에서 치료한느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여드름을 집에서 직접 짜는 것도 위생적이지 않으며 2차 감염의 우려까지 있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잘못된 여드름 자가치료를 하는 응답자들은 병원에도 잘 가지 않았다.
환자들이 여드름에 대한 정보를 주로 얻는 경로는 남성의 경우 병원과 의사(39%)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인터넷(36%), TV/라디오(12%), 잡지(5%), 신문(3%) 등으로 집계됐다. 여성은 병원과 의사(40%), 인터넷(29%), 잡지(11%), 신문(10%), TV/라디오(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에서 여드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불만족 1위는 `치료 효과가 없다'(84%) 였다. 다음은 비용 (7%), 부작용(4%) 등의 순 이었다.
치료에 만족한 환자 그룹과 만족하지 않은 그룹 간에는 여드름 치료비용에 차이가 있었다. 전자는 평균 67만원, 후자는 평균 111만원으로 만족하지 않은 그룹에서 약 2배 정도 비용지출이 많았다.
여드름 치료에 불만족스러워 하는 환자들은 여드름이 주로 볼과 가슴에 있는 경우였다. 이마에 여드름이 난 환자들은 치료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