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정액DNA '짬뽕'돼 무용지물
군포 살인범 강호순이 화성연쇄살인범인지 가려내기 위해 경찰은 어제 강의 정액 DNA샘플을 국과수로 보내 확인 하려했으나 화성 여대생 피살사건 용의자 DNA 샘플의 감정 결과가 국과수의 시험자(분석요원)의 유전자형과 일치, (샘플이)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다'는 내용이 나와 군포 살인범 강의 것과 대조할 수 없게 됐다. 즉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던 국과수 요원에 의해 샘플이 훼손됐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자 범인 강이 사전에 여기까지 생각해 '치밀하게' 현장을 위장 한 건지 아니면 국과수가 실수를 해 DNA를 훼손시켜 놓고 은폐해 왔던 건지 도무지 종 잡을 수 없게 됐다.
이 문제는 그 해 9월 국정감사 자료를 수집하던 당시 한나라당 권오을 의원에 의해 제기된 적 있다.
이 사건을 저지른 것으로 의심되는 연쇄살인범 강호순(38)이 이 사건에 대한 범행을 부인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 DNA 샘플은 그가 범인인지 아닌지를 가리는 결정적인 열쇠다.
권 당시 의원은 "2003년부터 2005년 5월 사이에 발생한 미제사건 중 14건에서 증거물이 국과수 유전자 분석요원(11건), 또는 수사관(3건)에 의해 훼손됐다는 보고를 국과수로부터 받았다"고 밝혀 국과수의 허술한 증거물 관리가 논란이 됐다.
이에 대해 국과수는 "청바지에 묻은 정액에서 DNA 샘플을 추출해 분석하던 중 또 다른 DNA 흔적이 나와 검사해 보니 국과수 시험자의 땀 등으로 추정되는 물질이었다"며 청바지에서 나온 정액 DNA를 훼손한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분석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분석요원의 땀이나 침이 청바지에 떨어졌지만 범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정액에 섞이지는 않았다는 주장이다.
이번 연쇄살인사건을 수사중인 경기경찰청 수사본부 고위 관계자는 먼저 "노 씨의 청바지에서 검출된 정액 DNA를 "2명 이상의 것이 섞인 혼합형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혼합형의 경우 대상자의 범위가 넓어서 분석 결과를 가지고 '이 사람이 범인이다'라고 특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수사자료로서 별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결국 화성연쇄살인의 범인은 쉽게 그 모습을 드러내기 힘들어 져 버렸다. 이게 다 누구 책임인가? 세상에 완전범죄가 있을 수 있는 가 보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