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추기경,5.18 시민군에 편지와 1천만원 전달
18일 오전 김수환 추기경의 빈소가 마련된 서울 중구 명동성당을 찾은 이강국 헌법재판소장이 조문하고 있다.
김 추기경이 1980년 5.18광주민중항쟁 당시 희생자들과 부상자들을 걱정하는 편지와 함께 거액의 돈을 보낸 사실이 29년 만에 밝혀져 옷깃을 여미게 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천주교 광주대교구장을 지낸 윤공희 대주교(86)는 계엄군이 시민군에 밀려 광주 도심 외곽으로 후퇴하고 봉쇄작전을 펼치던 1980년 5월 23일 김 추기경의 서신을 전달받았다.
김 추기경은 1장짜리 서신에서 "광주에서 많은 사람이 다쳤다는 소식을 듣고 걱정이 크다. 어려운 상황이지만 평화적으로 잘 해결됐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다급하게 쓴 듯한 짧은 편지 속에는 당시로서는 큰 액수인 1천만원이 현금으로 동봉돼 있었다.
김 추기경은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과 공수부대의 무자비한 진압작전으로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고 손수 편지를 쓴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광주로 진입하는 교통수단이 통제돼 편지를 전해줄 길이 없었던 김 추기경은 군종신부를 통해 편지를 광주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군과 계엄군이 대치했던 광주 서구 화정동에서 예기치 않게 편지를 전해받은 광주의 사제들은 큰 감동을 받았다고 윤 대주교는 전했다.
윤 대주교는 "군부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내란죄로 몰아가고 서슬퍼런 검열이 존재하고 있던 시절이라 편지 속에 많은 이야기가 담기지는 못했지만 광주 시민의 안전을 걱정하는 김 추기경의 마음은 충분히 느껴졌다"고 말했다.
동봉된 1천만원은 광주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에 맡겨져 부상자 치료와 구속자 영치금 등으로 쓰였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