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그23대대 동해안 이동.. 北 미사일발사 임박?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임박하면서 한반도의 긴장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북한은 인공위성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사실상 핵무기를 실어나르기 위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의 일환이라는게 한.미 등 국제사회의 판단이다.
만약 발사가 성공한다면 핵실험을 단행한 북한이 추진체까지 보유했다는 것을 의미해 `완전한 핵보유국'으로 성큼 다가서게 되는 셈이며 실패한다해도 북한이 장거리 로켓 실험을 멈추지 않는 이상 위협은 계속된다.
군사 전문가들을 로켓 발사대가 있는 함경남도 화대군 무수리단리의 날씨를 고려할 때 발사 시점은 오는 6~7일 사이로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미 북한이 로켓 발사를 위한 연료주입에 착수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고 정보 당국 역시 로켓 발사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북한은 이를 위해 미사일 발사장 인근에 미그23 전투기를 동해안 쪽으로 이동배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2일 "북한이 함경북도 공군기지에 있는 미그 23 비행대대를 동해안 쪽으로 이동 배치했다"면서 "장거리 로켓 발사 준비 작업과 함께 전투기가 이동 배치된 것은 일본 등의 로켓 요격 움직임에 대한 대응 차원"이라고 해석했다.
정부는 북한이 예고한 로켓 발사가 임박함에 따라 만의 하나의 사태에 대비해 항공기가 발사체의 낙하 위험구역을 최대한 우회해 안전지역에서 운항하도록 각 항공사에 요청할 계획이다.
외교안보부처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로켓 발사 직후 대북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 격상 여부를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북한의 추가적 군사도발에 대비해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겠다는 의미다.
외교통상부와 국방부, 통일부가 각각 운영하고 있는 `로켓 대응 태스크포스(TF)'는 발사를 예고한 기간 비상 근무체제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부는 북한이 로켓을 발사한 것으로 확인되면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외교안보부처 장관들이 모두 참여하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해 대응방안을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유명환 외교부장관은 또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외무장관과 즉각 전화통화를 갖고 대책을 협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