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 증상과 감염 예방접종
2009-05-15 조창용 기자
특히 환자 스스로도 '감기몸살이겠거니'하고 방치하다 갑자기 정신을 잃고 간성혼수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내과의원을 운영 중인 이동훈 내과전문의는 "의료진도 감기인 줄 알고 질환을 간과하기 쉽지만 혈액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이상 초기에 A형간염을 잡아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실제로 대학병원에서는 개원가에서 감기몸살로 진단받고 약물치료를 하다 증상이 악화돼 뒤늦게 큰 병원으로 옮겨 입원 치료를 받는 A형간염 환자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보건당국은 감염 위험이 높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파시킬 위험이 있는 사람에 한해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위생상태가 취약한 지역을 여행한다거나 국내 유행지역의 소아, 간경화 등 만성간성질환자 그리고 조리시설 종사자 등이 권장 대상이다.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A형간염이 많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려면 관내 보건소에 문의하면 된다. 지역별로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이 인구에 비해 A형간염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질병관리본부 전병율 전염병대응센터장은 "비용효과 측면에서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선정해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며 "예방접종 사례분석 및 국내외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필수예방접종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