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가경쟁력 27위..4계단 점프"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작년 보다 상승한 27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20일 발표한 '2009년 세계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경쟁력은 57개 나라 중 27위로 지난해보다 4계단 뛰었다. ▲2004년 31위 ▲2005년 27위 ▲2006년 32위 ▲2007년 29위 ▲2008년 31위 등으로 오르락 내리락하가다 올해에 2005년 수준을 회복했다.
인구 2000만명 이상인 29개 나라 가운데 11위, 아시아.태평양 국가 13개 국가 중에선 10위를 차지했다.
미국이 1위, 홍콩과 싱가포르가 2,3위를 차지했다.
4대 부문별로 살펴보며 기업효율성(36→29위)이 가장 많이 개선됐다. 정부효율성(37→36위), 인프라구축(21→20위), 경제성과(47→45위)도 소폭 상승했다.
세부적으로는 보면 고용(12위), 공공재정(16위), 재정정책(14위), 생산성.효율성(14위), 과학인프라(3위), 기술인프라(14위) 등이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반면 외국인투자(54위), 물가(52위), 기업관련 법규(48위), 사회적 인프라(51위) 등은 낮은 점수를 받았다.
경제침체 대응력과 향후 국가경쟁력 향상 노력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에서는 29위를 차지했다. '안정적 국가'로 분류된 30위권 내에 가까스로 턱걸이를 했다.
경제성과 부문에서는 국내경제가 29위에서 27위로, 국제무역이 40위에서 37위로 상승했다. 장기실업률(1위)과 상품수출액(12위), 경제다변화(13위) 등이 강점으로 곱혔다. 연구개발(R&D)시설 재배치(54위), 생활비용지수(53위), 관광수입(54위) 등은 약점 요인으로 평가됐다.
특히 기업효율성 분야는 경쟁력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생산성 및 효율성이 36위에서 14위로, 금융부문도 40위에서 33위로 점프했다.
그러나 여전히 약점도 많았다.고객만족도 강조 여부, 단위노동비용, 연간평균 근로시간 등이 강점이나 노사관계 생산성, 문화적 개방성, 이사회의 경영감시 기능, 중소기업 효율성 등은 작년에 이어 약점 분야로 꼽혔다.
R&D 인구대비 특허획득건수, 고등교육수학률, R&D투자비율 등이 전년에 이어 강점으로,초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대학교육의 사회부합도, 자격을 갖춘 엔지니어의 시장공급 수준은 약점으로 평가 받았다.
국가경쟁력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에서는 안정적인 편으로 평가 받았으나 정부분야(51위)와 기업분야(34위)에서 개선 여지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