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환자96%이상 `연명 치료' 반대"

2009-05-22     이민재 기자

 대법원의 존엄사 허용 판결이 나온 가운데 대다수의 환자와 의사가 연명치료 중단을 미리 요청할 수 있는 사전의료지시서 작성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톨릭의대 성빈센트병원 내과 김훈교 교수팀은 지난 2007년 병원 호스피스병동 말기암환자 134명과 내과 전공의 97명을 대상으로 `사전의료지시서' 작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환자의 95.5%(128명), 의사의 97.9%(95명)가 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조사결과는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환자의 59%(79명), 의사의 99%(96명)는 자신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말기 상태가 될 경우 무의미한 생명연장을 위한 심폐소생술을 희망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심폐소생술 거부(DNR) 동의서를 작성할 시점으로 환자의 64.9%(87명)가 임종이 임박했을 때, 34.3%(46명)가 말기로 진단받았을 때, 0.7%(1명)가 입원 당시로 답했다.

의사결정권자를 묻는 말에는 환자와 가족이 모두 참여해야 한다는 응답이 84.3%(113명)로 집계됐다.

의사들이 꼽은 DNR 작성 시점은 다르게 나타났다.말기단계나 전이 상태라고 진단받았을 때 66%(64명), 임종이 임박했을 때 25.8%(25명), 암이라고 처음 진단받았을 때 8.2%(8명) 등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63.4%(85명)와 의사의 77.3%(75명)는 자신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황일 때를 대비해 의료적 권한을 가진 법정대리인 지정에 찬성했다.환자 97%가 의료적 권한 법정대리인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언장을 작성하게 한 결과, 환자의 100%(134명), 의사의 96.9%(94명)가 말기 상황일 경우 가능한 편안하게 사망할 수 있도록 자신에게 시행되는 모든 치료를 중단, 보류하기를 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