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호봉.직급 완전 파괴..사내 인력시장 개설
6월1일부터 통합법인으로 새 출발하는 KT는 3만8000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연공서열식 인사제도와 호봉제를 전면 폐지하고 성과 연봉제를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오랜 노사 협의 끝에 인사 혁신 프로그램에 전면 합의하고 대표적인 공기업적 잔재로 지적받아 온 일반직, 연구직, 별정직, 지원직 등의 직종구분과 2~6급의 직급체계를 전면 폐지했다. 보수 체계도 개인 성과에 따른 보수등급(Pay Band)으로 전면 개편된다.
이에 따라 직원들은 직급 대신 급여 수준에 따라 L(leader)-P(Professional)-S(Senior)-J(Junior)-A1(Assisstant1)-A2(Assisstant2)의 등급으로만 구분된다. 직종ㆍ직급과 관계없이 강도 높은 내부경쟁체제로 전환했다.
한국전기통신공사 설립이래 지난 30여년간 유지해 온 호봉제를 완전 폐지키로 했다. 호봉제는 그간 성과주의 인사의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돼 왔다.
KT는 호봉제를 폐지하는 대신 개인별 실적에 따라 임금인상에 차등을 두는 성과인상제 방식을 도입했다. 팀워크와 경쟁효과를 동시에 얻기 위해 부서 성과급의 차등폭도 150%까지 확대했다.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고령 노동자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삶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최장 3년6개월간의 `창업지원휴직' 제도도 도입하기로 했다.
KT 노사는 KTF와의 합병에 따라 기존 KTF에만 있던 차장제를 통합 KT에 신설하는 데 합의하고 3년간의 성과를 종합 고려한 포인트 승격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직원들 배치에 있어서도 본사 중심의 통제 위주 인사관행을 개선해 인력의 수요과 공급을 웹사이트에서 개인과 부서 간에 시장 논리에 따라 결정하는 HR-마켓플레이스(Marketplace) 방식으로 전환한다. 이 시스템은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 등 일부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3만명이 넘는 대기업이 도입한 것은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