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질환 경제적 부담 14조...환자 5년새 51.8%↑
우리나라의 암 관련 경제적 부담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 김성경·김진희 박사팀의 ‘암의 경제적 비용부담 추계'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암 관련 경제적 부담은 14조 1천억원으로, 2002년의 11조 4천억원에 비해 23.6% 증가했다. 이는 2005년 전체 GDP의 1.75%에 해당한다.
경제적 비용은 조기사망으로 인한 사망손실액(7조4천억원)이 전체의 52.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정상인이 암환자로 이환된데 따른 손실액 3조2천억원(22.8%), 직접의료비 2조2천억원(15.7%), 교통비.간병비.대체요법 등 직접비의료비 1조1천억원(8%), 암환자 보호에 따른 시간손실 비용 1천억원 순이었다.
암 종류별 경제적비용은 간암 2조5천억원, 위암 2조4천억원, 폐암 1조7천억원, 대장암 1조4천억원, 유방암 9천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암 환자 1인당 경제적 비용부담은 2천970만원으로 역시 사망손실액(1천560만원)이 가장 많았고, 이환손실액(680만원), 직접의료비(470만원) 순이었다.
암 환자 1인당 비용부담이 가장 높은 암은 백혈병(6천700만원)이고, 그 뒤를 간암(6천620만원), 췌장암(6천370만원)이 이었다.
지난 2005년 한해 암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국내 암환자는 모두 47만3천135명으로 2002년 암환자 31만1천759명에 비해 51.8%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6.7%로 가장 많았고, 50대 22.7%, 70대 22.4% 등으로 나타났다. 암의 종류별로는 위암 8만9천224명(18.9%), 대장암(12.4%), 유방암(11.6%), 갑상선암(9.9%), 간암(7.8%), 폐암(7.6%), 자궁경부암(4.8%)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