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선호도 변화.."큰 것 싫어~작은 게 좋아"
2009-07-02 이경환 기자
아파트 선호도는 바뀌고 있다. 중대형에 대한 선호도는 떨어진 반면 중소형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와 한국갤럽은 지난 5월 21일부터 6월 12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천503명을 대상으로 '2009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 현안에 관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이 조사에 따르면 경기하강 뒤 예금, 주식, 부동산 등 자산 처분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4.7%가 '일부를 처분하거나 축소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가장 먼저 처분한 자산은 '예금'이 38.1%로 가장 많았고, 보험(25.7%), 펀드(19.8%), 주식(8.5%)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을 먼저 처분 혹은 축소했다는 응답자는 7.2%로 자동차(0.5%)에 이어 두번째로 낮았다.부동산의 경우 예금이나 주식 등에 비해 규모가 커 환금성이 낮고 가격 하락으로 올해 거래가 쉽지 않았으며 정기적인 지출 비용은 크지 않아 상대적으로 처분 사례가 많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3년 전에 비해 99㎡ 이하 소형주택의 선호도가 크게 상승했다.
신규 아파트 분양받을 계획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양 희망 주택 규모'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19.3%가 99㎡ 이하 소형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지난 2006년 하반기 조사에서 15%가 선호한 것에 비해 4.3%포인트 증가했다.
132㎡ 이상 대형은 3년 전 20.7%에서 올해는 16.6%로 4.1%포인트 감소했다. 경제위기로 투자금이 낮은 소형 선호 현상이 강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99-132㎡ 중형은 3년 전 64.3%에서 현재 63.5%로 거의 비슷했다.
소형 인기 상승에는 20대 젊은층과 50대 이상 장년층의 역할이 컸다.20대의 소형 선호도는 3년 전 24%에서 올해 29.1%로 높아졌다. 50세 이상 장년층 역시 18.2%에서 23.4%로 5.2%포인트 커졌다.
현재 거주지역의 부동산 가격을 묻는 질문에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41.4%가 '이미 바닥을 치고 상승하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가 바닥권'이라는 응답도 22.2%에 달해 60% 넘는 사람들이 부동산 가격이 바닥을 친 것으로 생각했다.
반면 지방에서는 '이미 바닥을 치고 상승하고 있다'고 응답이 24.9%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