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바퀴 부풀어?~타이어회사 가봐"
푸조"타이어 우리가 안 만들었어"..피렐리"소비자과실"
2009-07-15 이경환 기자
“수입차 업체가 국산차에서는 무상 수리되는 타이어 결함을 타이어 업체에 미루고 타이어 업체는 다시 소비자의 과실로 몰아붙였다”며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에 억울함을 토로했다.
경기도 성남에 살고 있는 정 모(여.42세)씨는 지난 해 6월께 수입차인 ‘푸조’의 307SW 차량을 4천여만 원에 구입했다.
구입 후 3만km 정도 주행한 최근 정 씨의 한 지인은 타이어 옆면이 이상하다며 정비를 받아 보라고 권유했다. 실제로 자세히 살펴보니 조수석 쪽 앞, 뒷 쪽 타이어의 특정 부위가 똑같이 부풀어 올라 있었다.
공기압이 빠지지 않은 걸로 보아 펑크도 아닌 것 같아 정비소에 의뢰하니 ‘코드절상’이라는 진단을 받게 됐다.
코드절상이란 타이어 고무 속 와이어가 망가진 것이다. 움푹 파인 웅덩이 등을 거칠게 지나갈 경우 압력을 받아 타이어 고무 속에 있는 와이어가 끊어지면서 형태를 잡지 못해 변형이 일어나는 것이다.
타이어나 휠 등에 아무런 흠집조차 없는 데다 코드절상이 발생할 정도로 거칠게 운행을 하지 않았던 정 씨는 푸조 측에 전화를 걸어 원인규명을 요청했다.
푸조 측은 “코드절상은 소비자 과실”이라고 잘라 말하며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다면 타이어 회사인 피렐리 측에 문의하라”고 일축했다.
타이어만 따로 구매한 것도 아니었던 만큼 정 씨는 자동차 회사가 처리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따졌지만 담당직원은 “푸조 내부의 방침인 만큼 타이어나 내비게이션 등 외주로 생산된 제품은 외주업체에 문의하라”는 답변만 이어갔다.
할 수 없이 타이어 공급 업체인 피렐리 측에 전화로 상황을 설명하자 담당직원은 “코드절상의 경우 100% 소비자 과실인 만큼 무상으로 AS를 해줄 수 없다”고 역시 잘라 말했다.
억울한 마음에 정 씨는 국내 타이어 업체에 전화를 걸어 상황을 설명하고 AS여부를 문의하자 대다수의 업체들이 “제조상 과실이나 사용자 과실을 묻지 않고 코드절상인 경우 2년 이내에 현품 또는 현금 보상을 해준다”는 설명을 듣게 됐다.
이 같은 사실을 푸조 측에 다시 한 번 알리고 최소한 소비자 과실인지, 제조불량인지에 대한 원인 규명이라도 해 달라 요청했지만 푸조 측은 현재까지 감감 무소식이다.
정 씨는 “국산 타이어 업체들은 대다수가 2년 이내에는 코드절상에 대해 무상 수리가 되는데 유독 푸조차만 안 된다는 이유를 알 수 없다”면서 “더욱이 푸조라는 브랜드를 믿고 차를 구입했는데 책임을 타이어 업체로 미루는 점도 이해할 수 없다”고 성토했다.
이어 “그럼 차 엔진이 고장 나면 소비자는 엔진공장을 찾아가 AS를 요청하고 트랜즈 미션이 나가면 트랜즈 미션업체를 찾아가야 하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GM대우자동차.르노삼성자동차.쌍용차등 국산 자동차 뿐 아니라 다른 외제차 수입업체 가운데서도 새 차 결함을 이런 방식으로 처리했다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푸조 관계자는 “고객이 운행을 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한 만큼 회사 측에서의 보상은 어렵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