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최대 수혜 산업은 자동차.전자.섬유.화학

2009-07-13     조창용 기자
코트라(KOTRA)는 EU 20개국의 주요 현지기업과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자동차(부품 포함)와 전자,섬유,화학산업이 한-EU FTA의 가장 큰 혜택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13일 밝혔다.

품목별로는 승용차와 자동차 부품, TV, 위성방송용 셋톱박스,폴리에스테르 섬유,메리야스 편물, 산업용 장갑, ABS 수지, 포크리프트 트럭, 타이어 등이 꼽혔다.

자동차의 경우 유럽 현지 딜러들은 현재 10%인 관세가 철폐되면 대당 1천 유로 이상의 가격인하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고 관세환급까지 인정되면 대당 300유로의 추가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동차 부품 역시 가격경쟁력 확보로 유럽 완성차 업체에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납품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됐다. 유럽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불황극복을 위해 현재 60%에 달하는 부품 외부조달 비율을 70%까지 높일 계획이다.

프랑스의 오딜 데포르주 르노(Renault) 구매이사는 한국산 부품 가격 경쟁력을 세계최고 수준으로 평가하며, 관세철폐가 물류비용(5~10%)를 상쇄하게 돼 더욱 매력적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현재 관세가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입해 현지에서 완제품을 생산하는 TV의 경우 FTA로 인한 관세철폐 영향은 크지 않지만 대신 직수출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폴란드에서 완제품 TV를 생산하는 LG전자는 현지 생산비용과 직수출 비용을 비교해 물량 비중을 조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가 중국산과 터키산에 밀려 고전했던 위성방송 수신기(셋톱박스)도 관세 철폐로 가격경쟁력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