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촉진 약발..집값이 주가의 3배"
주가상승보다는 주택가격이 오를수록 우리나라의 가계소비가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과거 외환위기를 겪은 직후에는 주택자산이 가계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즐어 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하고 가계소비를 늘리려면 자산 쏠림현상을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5일 예금보험공사의 `금융안정연구' 최근호에 실린 논문 `IMF 구제금융기간 전후 자산변동과 가계소비에 관한 실증연구'에 따르면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실증분석 결과 주택자산이 금융자산보다 가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3배가량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 상승이 주가 상승보다 가계 소비를 더 촉진시킨다는 의미다.이들 자산 가격의 상승은 공통적으로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소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주택자산의 가치가 1% 상승하면 저소득층(1분위)의 소비는 0.075% 느는 반면 고소득층(9분위)은 0.092% 가량 증가했다. 금융자산 가치가 1% 상승하면 1분위 계층의 소비는 0.019% 증가하지만 9분위 소비는 배 가량 높은 0.041% 증가했다.
금융자산보다 주택자산이 소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2004년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 총자산에서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84%에 달할 정도로 편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시기인 1998~2000년과 그 직후인 2001∼2004년을 나눠서 견줘 보면 외환위기 이후 주택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주택자산이 가계소비에 주는 영향력은 그 이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자산의 가치가 올랐지만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가계부채가 늘어나 이자비용 부담이 급증하면서 소비를 증가시키는 자산효과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가 앞으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하려면 소비 진작이 필요며 이를 위해서는 가계의 자산보유에 있어서 주식자산 등과 같은 금융자산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가계소비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근로소득이며 근로소득이 1% 증가하면 가계소비는 약 0.3~0.5%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논문은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