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몸무게 남성2.6㎏,여성1.6㎏ 불어
충남대의대 예방의학교실 조영채 교수팀과 건강보험공단 연구팀은 1997년부터 2007년 사이 총 6회(2년에 1회)에 걸쳐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406만명 가운데 성별.연령별.지역별 대표성을 가진 5천420명(남 4천556명, 여 864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이 분석결과 논문은 대한비만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에 따르면 남성의 경우 평균체중이 1997년 66㎏에서 68.6㎏으로 2.6㎏ 증가했다. 여성도 97년 54.9㎏에 그쳤던 평균체중이 10년만에 56.5㎏으로 1.6㎏가 늘었다. 남성의 증가폭이 여성보다 컸다.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눠 비만도를 가늠하는 체질량지수(BMI)는 남성이 1997년 22.9에서 2007년에는 23.9로 1㎏/㎡가 늘었다.
`아시아 태평양 기준'에 따르면 BMI 수치는 남녀 모두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 사이면 정상(표준), 23~24.9 사이면 과체중, 25~29.9 사이면 비만, 30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한국 남성은 10년만에 몸무게가 표준에서 과체중이 된 셈이다.
여성도 마찬가지다.1997년 BMI가 22.3이었지만 2007년에는 23으로 0.7㎏/㎡가 늘어 과체중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됐다.
10년간 연도별 비만수준을 보면 남성의 경우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이 1997년 각각 2.9%, 49.2%에서 2001년 2.8%, 40.5%, 2007년 2.1%, 35.0% 등으로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다.
반면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1997년 26.3%, 21.6%에서 2001년 26.9%, 29.8%, 2007년 29.5%, 33.4%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1997년과 2007년만 놓고 보면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각각 0.8%포인트, 14.2%포인트 감소했다.반면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각각 3.2%포인트, 11.8%포인트 증가한 셈이다.
여성도 저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은 각각 3.0%포인트, 7.3%포인트 감소한 반면 과체중군과 비만군은 각각 3.9%포인트, 6.4% 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