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공무원 징계 급증…작년 73%↑

2009-10-04     우명환 기자

품위 손상,비리등으로 징계를 받는 지방공무원이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행정안전부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김소남(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징계를 받은 지방공무원은 2천803명으로 전체 27만5천231명의 1.02%로 집계됐다.

징계 공무원은 2006년 1천276명에서 2007년 1천621명으로 27.0%(345명) 증가했으며 작년에는 72.9%(1천182명)나 급증했다.

징계를 받는 공무원이 증가한 것은 음주 운전이나 공무원노조 활동 등으로 품위를 손상하는 공무원이 많기 때문이라는 게 행안부의 설명이다.

작년의 경우 징계 사유는 품위 손상이 전체의 74.7%인 2천95명을 차지해 가장 많았고 직무유기ㆍ태만 186명(6.6%), 복무규정 위반 176명(6.3%), 뇌물수수 또는 공여 82명(2.9%) 등이 뒤를 이었다.

징계 수위는 파면·해임이 62명으로 2.2%를 차지했으며 정직 305명(10.9%), 감봉 708명(25.3%), 견책 1천728명(61.6%)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 792명(28.3%), 충남 347명(12.4%), 전남 232명(8.3%), 경북 228명(8.1%), 경남 207명(7.4%)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