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의 4분의3이 수입산..식량 자급률 사상 최저
동물 사료를 포함한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이 26.2%로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식량 안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세계적 흉작으로 곡물 값이 치솟으면 충분한 식품을 구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2008년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 전망치는 49.2%다. 식량의 절반가량를 수입해다 먹는다는 얘기다.
사료 수요를 포함한 곡물 자급률 전망치는 26.2%로 더 낮다. 식량 자급률은 곡물 자급률에 건초 같은 식물성 사료인 조사료, 우유, 유제품, 육류 등을 포함시키되 사료용 곡물 수요는 제외한 개념이다.
곡물 자급률이 이처럼 미미한 것은 밀, 옥수수, 콩의 자급률이 각각 0.4%, 0.9%, 7.1%에 머물기 때문이다.
쌀 자급률 94.4%를 빼면 다른 곡물은 거의 수입해 먹는다는 얘기다.
정부는 2015년 정부의 곡물 자급률 목표치를 25.0%로 잡고 있어 앞으로 자급률을 더 떨어질 전망이다.
지난 9월 농식품부에 대한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에서도 '정부의 식량 자급률 목표치가 너무 낮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2007∼2008년의 곡물 파동을 거치며 중국, 일본 등 일부 국가들은 식량 자급률 목표치를 상향 조정했었다.
그러나 국내 곡물의 가격 경쟁력이 워낙 낮아 문제해결은 쉽지 않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밀, 콩 등의 자급률을 높이려면 높일 수 있겠지만 문제는 이렇게 생산된 밀과 콩을 사먹을 곳이 없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다만 밀 자급률은 0.4%에서 1.0%로 소폭 올랐다.국제 밀값이 크게 오르면서 국산과의 가격 차가 좁혀졌고 식품업계가 국산 밀로 만든 상품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수요를 촉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