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50만원의 법칙, 아시나요?
2007-05-24 뉴스관리자
영상통화가 가능한 3세대(G) 통신 시대, 휴대폰 모델수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가격도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업체들마다 공을 들인 주력모델이나 히트폰 대부분의 가격은 예나 지금이나 대부분 출시가 50만원대라는 공통점이 있다.
‘50만원=주력 제품’이라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불변의 법칙이 존재한다. 매년 휴대폰 출시가는 하락하고 있고, 3G로 이동통신시장이 새로운 격변기를 겪고 있지만 이같은 50만원대의 암묵적 법칙만은 유지된다.
무엇보다 이 금액이 소비자들의 심리적 가격 저항선을 막으면서 업체 입장에서는 높은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장 합당한 가격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업체들도 이같은 소비자들의 심리를 이용해 59만9000 몇 백원 등 출고가 100원 단위의 제품까지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삼성전자의 전략모델인 스킨폰의 첫 출시가격은 59만9500원. 스킨폰 이전 삼성전자의 주력 모델 이였던 초슬림 슬라이드폰인 일명 ‘효리폰’의 첫 출시가도 59만9500원이다. 현재 삼성전자의 주력 모델인 컬러재킷폰의 출시가격도 50만원에 육박하는 49만9400원이다.
LG전자의 현재 주력 모델인 샤인폰 첫 출시가는 57만원. 가격은 하락했지만 여전히 50만대 출고가는 유지, 51만7000원에 판매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샤인폰 이전 1000만대 판매량을 올린 LG전자의 초콜릿폰의 첫 출고가도 54만8900원이다.
조만간 시장에 출시를 앞둔 업체들의 전략 제품 가격도 대부분 50만원대다. 국내 시장 출시를 앞둔 모토롤라의 야심작 ‘레이저 스퀘어드’(RAZR2), 삼성전자의 슬림형 블루투스 네비게이션폰인 ‘SCH-C220’ 폰의 가격도 50원대의 출시가가 예상된다.
영상통화가 가능한 3G단말기도 마찬가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3G폰은 첫 출시가 기준으로 보통 40만원대 제품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KTF가 밀고 있는 3G폰 주력 제품(제품명 SPH-W2500)의 출시가는 59만9000원이다. LG전자 역시 현재에는 30~40만원대의 보급형 제품을 대거 선보였지만 하반기에는 3G 단말기 주력제품을 50만원대의 가격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익성을 높이면서 가장 활발한 판매가 가능한 제품 가격을 50만원대로 보고 있어, 업체들마다 높은 판매를 기대하는 주력 제품의 경우 가급적 50만원대의 출고가를 맞추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