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 대장균군 검출기준 '슬그머니' 완화

2010-01-26     윤주애 기자

정부가 40여년간 유지해온 분유의 대장균군(群) 검출 기준을 완화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26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따르면 검역원은 2008년 12월 30일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 규격'을 개정해 고시했다.

새로 바뀐 기준은 '1g짜리 5개 시료 가운데 단 1개에서만 대장균군 검출을 허용하되 10마리 이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개정 이전에는 분유에서 대장균군의 검출을 일절 허용하지 않았다.

대장균군은 대장균을 포함해 비슷한 유형의 여러 세균을 통틀어 일컬으며, 위생 상태나 청결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 세균이다. 대장균군이 검출되면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있을 가능성도 높다.

검역원 관계자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코덱스)의 권고 기준에 맞춰 기준을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은 불검출이 원칙이고, 유럽연합도 대장균군보다 좀 더 넓은 개념인 '엔테로박테리아'를 기준으로 삼아 불검출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반면 호주, 뉴질랜드는 '1g짜리 5개 시료 중 2개에서만 10마리 이하의 대장균군을 허용한다'고 돼 있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기준 완화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채 추진돼 유업체의 편의 봐주기라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이에 대해 검역원 관계자는 "농림수산식품부가 개최한 정책세미나에서 개정 제안이 나왔고 이후 소비자단체가 참여한 자문위원회, 축산물 위생 심의위원회 등을 거쳐 입법 예고를 하고 개정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