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등록금 '고공행진'..5년간 사립 165만↑
2010-02-17 김미경 기자
17일 교육과학기술부의 `2004∼2009년 국내 4년제 대학 등록금 인상률' 통계자료에 따르면 작년 사립대의 연간 평균 등록금은 742만원으로 5년 전의 577만원보다 165만원(28.6%) 뛰었다. 국ㆍ공립대는 5년 전 290만원에서 지난해 419만원으로 129만원(44.5%)나 올랐다.
등록금이 급등한 해의 인상률은 그해 물가상승률의 최대 3배 수준을 웃돌았다.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사립대와 국ㆍ공립대 등록금 인상률은 5.9ㆍ9.4%(2004년), 5.1ㆍ7.3%(2005년), 6.7ㆍ9.9%(2006년), 6.5ㆍ10.3%(2007년), 6.7ㆍ8.7%(2008년) 등이었다. 같은 기간 물가상승률은 3.6%, 2.8%, 2.2%, 2.5%, 4.7%였다.
사립대의 등록금 증가 액수가 국ㆍ공립대보다 많긴 했지만, 인상률에서는 오히려 국ㆍ공립대가 사립대보다 높았다. 2004년 국ㆍ공립대의 2배였던 사립대 등록금은 2009년에는 1.78배로 격차가 좁혀졌다.
계열별 등록금 인상률에서는 사립대와 국ㆍ공립대 모두 의학과 공학계열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다.
사립대는 의대와 공대가 각각 780만원에서 1천4만원, 653만원에서 842만원으로 올랐다. 국ㆍ공립대도 의대가 462만원에서 676만원, 공대가 300만원에서 441만원으로 뛰었다. 예체능, 자연과학, 인문사회계열은 5년간 각각 131만(국ㆍ공립)∼181만원(사립), 126만∼174만원, 115만∼143만원 올랐다.
이처럼 등록금이 급등한 원인은 정부의 자율화 정책에 따라 대학이 공격적으로 각종 투자에 나서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분석이 중론이지만, 막대한 투자 비용을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