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차원 에너지 이용 효율 대폭 개선

2010-02-19     이지희 기자
국가 차원의 에너지 이용효율 개선 사업이 대대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19일 지식경제부에 제출한 `에너지절약 기본계획' 용역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저소비.저탄소 경제체제로의 전환에 대비하기 위해 2007년 대비 국가 에너지 이용효율을 2012년까지 11.3%, 2017년까지는 23.5%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 에어컨 등 냉난방기와 보일러, 전동기 등 7대 에너지 사용기기에 대한 맞춤형 기술 개발을 지원해 현재 40~89%인 에너지 효율을 2012년까지 60~95%, 2017년까지 70~98%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또 2012년까지 냉장고와 세탁기, TV 등 6대 가전기기의 에너지 효율을 20% 높이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단열 외피와 고효율 환기 및 지능형 냉난방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외피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수출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2012년까지 연료전지차의 조기 상용화를 추진해 2018년까지 3만대를 생산하는 전략과 2013년까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의 조기양산을 완료해야 한다는 점도 주문했다.

전기효율이 높은 백열등은 예정대로 2013년까지 안전기내장형 램프로 교체하고, 2013년부터는 창호에 대한 최저소비효율기준 및 등급표시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가정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전기요금 체제를 개편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개편 방향은 연료비 연동제 도입을 통해 가격구조를 합리화하고, 복잡한 용도별 요금체계를 전압별 요금체계로 바꾸는 것이다.

지경부는 이번 보고서 내용을 에너지 정책에 반영해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