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복 세탁, 전용세제 사용하세요
스키, 보드복, 등산복, 골프복과 같은 아웃도어 의류는 어떻게 관리해야 오래 입을 수 있을까.
비싼 옷이라고 드라이클리닝을 하는 경우가 있지만 고어텍스, 더미작스, 스톰핏, 쿨맥스 등 고기능성 소재에 드라이클리닝은 절대 금물이다.
일반적으로 아웃도어 레저활동에 적합한 기능성 소재의 옷은 특유의 기능만큼이나 비싼 가격대의 제품이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못해 고유기능을 잃어버리면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의 고유기능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세탁을 피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땀이나 먼지 등에 오염되어 어쩔 수 없이 세탁을 해야 한다면 올바른 세탁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기능성 의류는 크게 투습과 방수 기능에 초점을 맞춘 ‘고어텍스’류의 기능성의류와 흡한, 속건 기능에 초점을 맞춘 ‘쿨맥스’류의 기능성 의류로 나눌 수 있으며 세탁방법에는 차이가 없다.
기능성 의류는 인체에서 발생한 땀을 의류 외부로 쉽게 방출하면서 의류 외부의 수분은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의류에 기능성 멤브레인(얇은 기능성 막)을 코팅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세탁을 할 때는 의류의 기능성 멤브레인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멤브레인이 손상되지 않도록 세제도 기능성제품 사용
약 25~30℃ 정도의 미지근한 물에 기능성의류 전용세제를 표준사용량 만큼 넣은 후 지퍼, 벨크로, 단추 등을 모두 잠근 상태에서 표준 세탁코스로 단독 세탁하는 것이 좋다. 이때 표백제나 섬유유연제는 기능성 의류의 멤브레인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절대 사용하면 안된다.
기능성의류 전용세제인 애경 ‘울샴푸 아웃도어’는 땀의 주요성분인 피지와 같은 지방오염 세탁에 적합하면서 기포 발생이 적은 세제로 손세탁이나 일반세탁기, 드럼세탁기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 심한 부분오염은 애벌빨래로 제거하고 그늘에서 건조
목깃이나 소매 등 부분적으로 심한 오염에는 울샴푸 아웃도어를 물에 희석해 오염부위에 바른 후 세탁용 솔로 가볍게 문질러 오염을 제거해주면 된다. 이때 의류를 비비거나 짜지 말고 가능하면 짧고 가볍게 문질러 주는 것이 좋으며, 오염이 제거되면 세탁 후 건조하면 된다.
세탁이 끝나면 비틀어 짜는 것은 피하고 약한 탈수코스로 의류의 물기를 제거한 후 옷걸이에 걸어 직사광선이 미치지 않는 그늘에서 말려주면 된다.
◆ 드라이크리닝은 피해야
고가의 의류를 아낀다는 생각에 드라이크리닝을 맡기는 경우도 있는데, 기름으로 옷의 오염을 제거하는 드라이크리닝은 의류의 기능성 멤브레인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능성의류의 생명인 발수력을 떨어뜨릴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발수성’이란 의류 표면에 물방울이 스며들지 않고 구슬처럼 튕겨져 나가는 성질로 의류의 겉감이 젖는 것을 막아줘 쾌적한 활동을 지속시켜주는 기능이다.
기능성 의류의 발수성을 회복시켜주기 위해서는 의류를 세탁한 후 드럼세탁기의 건조기능을 이용해 중간온도로 건조해주면 발수성이 회복되며,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발수처리제를 사용해 발수성을 회복시킬 수도 있다.
도움말 : 애경 중앙연구소 세제파트 이경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