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증가로 소비 1천400억원 줄었다"

2010-03-30     임민희 기자
지난해 가계의 빚 부담 증가로 민간 소비가 1천400억원 가량 억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 신창목 수석연구원은 30일 ‘가계부채 부실화 위험 진단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라는 보고서에서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의 분기별 소득과 부채 등의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 보고소에 따르면 가계부채 증가는 유동성 제약을 완화해 소비를 8천500억원 늘리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빚이 증가한 만큼 상환 부담도 늘어 9천900억원가량 소비를 줄이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소비를 1천400억원 억제했다. 이는 지난해 실질 민간소비 증가분(1조2천400억원)의 11.6%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억제 효과가 소비증대 효과를 웃돈 것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이후 지난해가 처음이었다고 신 연구원은 설명했다.

그는 "주택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LTV)이 지난해 34.45%에 머물러 70%를 웃도는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이며, 위험도가 높은 LTV 50% 이상 대출 비중도 줄어들어 대규모 부실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이어 "가계부채의 만기구조를 장기화하고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여 미리 부실위험을 줄여야 한다"며 "원리금 부담이 갑자기 커지지 않도록 대출금리 안정화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