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시장 '찬바람'..번호이동만 '반짝'
이동통신사들이 과열 마케팅 자제를 선언한 뒤 휴대전화 시장은 전체적으로 위축되고, 번호이동만 소폭이나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국내 휴대전화 시장 규모는 삼성전자 추정치로는 전달 대비 15% 감소한 157만대, LG전자 추정치로는 전달 대비 22.5% 감소한 147만대 규모다.
통상 졸업과 입학 특수로 3월이 성수기인 점을 감안하면 이례적인 부진이다.
반면, 지난 3월 SK텔레콤, KT, LG텔레콤 등 이통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68만32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월의 61만547건에 비해 11.4%, 지난해 3월의 66만4천670건에 비해서는 2.4% 늘어난 수치다.
이통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지난해 9∼11월 30만건 전후를 기록하다가 스마트폰 시장 경쟁이 촉발되면서 지난해 12월 65만504건으로 급증한 뒤 올해 1월 48만1천123건, 2월 61만547건, 3월 68만320건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통사와 제조사들이 전략상품인 스마트폰 위주로 보조금을 선별적으로 지급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달 초 최시중 방통위원장 주재로 열린 간담회에서 이석채 KT 회장, 정만원 SK텔레콤 사장, 이상철 LG텔레콤 부회장 등 통신 3사 최고경영자(CEO)는 마케팅비 경쟁 자제를 골자로 하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했고 방통위 역시 매출액 대비 마케팅비 비중을 20%(올해는 22%)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이통사들은 일반 휴대전화에 대한 보조금을 대폭 줄이는 대신 스마트폰과 전략 휴대전화 중심으로 보조금을 집중하고 있다.
실제 KT는 첫 번째 안드로이드폰인 LG전자의 안드로-1에 애플 아이폰에 준하는 최대 5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고 SK텔레콤은 모토로라의 모토로이 등 스마트폰에, LG텔레콤은 전략 단말기인 맥스에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