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한 준위 무공훈장 수여 검토 "네티즌들 공 컸다!"
2일 이명박 대통령이 故 한주호 준위에게 무공훈장을 수여할 수 있도록 검토함으로써 순직자에 대한 대우 논란이 일단락되는 분위기다. 무엇보다도 이번 대통령의 지시가 있기까지 네티즌들의 공이 컸던 것으로 드러났다.
불과 얼마 전 이명박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군인”이라며 최고의 예우를 갖추라고 지시했다. 군은 장례식 형태를 해군작전사령부장(3일장)에서 해군장(5일장)으로 격상시키고 보상금도 교전 중 전사자 수준으로 상향했으나, 한 준위에게 보국훈장인 광복장을 수여해 논란이 불거졌다.
사건의 발단은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국군수도병원에 마련된 한 준위의 영정 앞에 광복장을 올려놓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부터 였다.
네티즌들은 해군의 초계함 '천안함'의 실종자를 찾기 위해 잠수하다가 순직하게 됐는데, 광복장은 격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광복장은 33년 이상 군생활을 한 위관급 이하와 5급 이하 군무원에게 준다. 한 준위의 경우 군생활이 35년째라 2년 뒤에 전역하면 자동으로 광복장을 받게 되는 것을 앞당겨 줬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 같은 논란이 포털사이트 등을 중심으로 일파만파 퍼지자 이를 수습해야 할 군의 머리가 복잡해졌다.
이를 의식한 듯 이명박 대통령은 2일 한 준위의 빈소를 찾은 자리에서 참모들에게 “통상적 활동 중에 사고를 당한 게 아니라 전투 상황에 준하는 만큼 예우하는 게 마땅하다. 무공훈장을 수여할 수 있도록 검토하라”고 지시했던 것이다.국방부는 한 준위에게 무공훈장이 수여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티즌들은 이를 두고 "광복장은 한 준위의 죽음을 헛되게 하는 것" "이제라도 어이없고 황당한 한 준위에 대한 대우가 달라지길 바란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