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정 응급센터 '어린이 환자'엔 무관심
정부 지정 응급의료센터 가운데 상당수가 어린이 환자를 돌보는 데 필요한 시설과 장비, 인력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응급환자에게 필수 장비인 기관내 튜브와 골강내 주사바늘을 갖추지 않은 곳도 각기 40%와 6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곽영호 교수가 전국 73개 응급의료센터를 대상으로 조사해 2일 그 결과를 발표한 데 따르면 연령에 맞는 크기의 `기관 내 튜브'가 없는 곳이 38.3%였다.
또 골강(骨腔) 내 주사 바늘'이 없는 곳은 56.2%나 됐다고 2일 밝혔다.
인위적으로 숨을 쉬게 하는데 필요한 기관 내 튜브나 골강 내 주사 바늘은 소아 응급환자에게 필수적인 장비로, 곽 교수는 이들 장비가 없으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소아환자 전용 처치 구역을 갖춘 응급실은 2.7%에 불과했으며, 소아 전용 소생실을 둔 응급실도 8.3%에 그쳤다.
더욱이 조사 대상 응급센터의 52.1%에는 소아 응급실 전담 인력이 아예 없었다.
환자 안전과 관련된 대응 시스템도 턱없이 부족했다고 곽 교수는 평가했다.
아동 학대 의심 환자에 대한 신고 및 대응 지침이 없는 곳이 50.1%였으며, 진정제 사용시 보호자 동의서를 받지 않는 곳도 75.3%나 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응급의료센터 의료진들 스스로도 소아 응급환자에 대한 진료 수준이 성인 응급환자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고 곽 교수는 덧붙였다.
곽 교수는 이 같은 조사결과를 3일 오후 의료전문지 `청년의사' 주최로 서울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열리는 `저출산시대, 소아청소년 의료정책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