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장사 잘되는데 서민은 이자부담 '허덕'
2010-05-20 임민희
대부업체를 통한 대출규모가 국제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늘어나고, 평균 금리도 올라가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20일 대부업 실태조사를 한 결과, 작년 말 기준으로 분석대상인 6천850개사가 167만4천437명에게 5조9천114억원을 빌려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3월 말과 비교할 경우 분석 대상업체가 976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출금은 오히려 14.6% 늘어났으며 국제 금융위기 전인 2008년 9월 말의 5조6천65억원도 넘어서는 수준이다.
1인당 대출금은 350만원으로 작년 3월 말보다 10만원 줄었다. 신용대출의 경우 평균 300만원이고, 담보대출은 1천만원이었다.
신용대출 총규모는 4조6천445억원으로 전체 대출금의 78.6%를 차지했고, 담보대출은 1조2천669억원으로 21.4%였다. 작년 3월 말과 비교해 신용대출은 15.1%, 담보대출은 13.0% 증가한 것이다.
평균금리는 신용대출이 연 41.2%, 담보대출이 19.5%로 작년 3월 말보다 각각 2.8%포인트, 3.9%포인트 올라 대출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 관계자는 "고금리 신용대출을 취급하는 대형 대부업체들이 영업을 확대하고, 일부 저금리 담보대출 취급업체가 신규 대출을 제한해 평균금리가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제도권 금융회사들이 서민금융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면서 대부업체에 대출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됐다.
자산규모 70억원 이상 79개 대부업체의 대출금은 5조722억원으로 전체 대부업체의 85.8%를, 거래자 수는 139만7천805명으로 83.5%를 차지했다.
이들 대부업체의 연체율은 13.2%로 작년 3월 말보다 4.7%포인트 하락했다. 담보대출 연체율은 23.6%로 15.2%포인트, 신용대출 연체율은 11.1%로 2.5%포인트 떨어졌다. 대출금이 증가한 반면 대출심사가 강화된 영향을 받아 연체금은 감소한 결과라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신규대출 이용자의 57.4%는 회사원이고 다음으로 자영업(18.9%), 학생.주부(6.0%), 공무원(3.0%) 순이었다. 대출 목적으로는 생활비 충당(33.5%), 사업자금 조달(20.2%)이 많았다.
이들 대부업체는 지난해 3천107억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자산 70억원 미만 대부업체 411개사의 대출금은 4천627억원으로 전체 대출금의 7.8%였고, 개인 대부업 6천360곳의 대출금은 3천765억원으로 6.4%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