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서민 골빼먹나?"..소액대출 금리만 상승
시중금리 하락과 함께 은행 대출 금리가 전체적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서민이 주로 이용하는 소액대출의 금리는 오히려 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들이 예대마진을 확대해 수익을 늘리는 데만 혈안이 돼 서민 소비자들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 소액대출(500만원 미만) 금리는 평균 연 6.66%로 전달보다 0.03%포인트 상승했다. 2월 5.95%와 비교하면 0.71%포인트나 급등한 것이다.
반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말 연 5.9%에서 5.07%로 0.83%포인트 급락하면서 2001년 9월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기업대출 금리 역시 3월 연 5.74%에서 4월 5.51%로 낮아졌다.
소액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차이는 지난달 1.59%포인트로 한달 전보다 0.43%포인트 커졌다. 이는 작년 7월 1.77%포인트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은행들은 또 대출금리보다 예금 금리를 크게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연 2.88%로 전월보다 0.38%포인트 떨어지면서 9개월 만에 2%대로 내려앉았다.
소액대출과 정기예금의 금리 차이는 3월 3.37%포인트에서 4월 3.78%포인트로 확대됐다. 은행이 4월에 10억원을 정기예금으로 예치해 소액 대출로 운용하면 연간 3천780만원의 이자 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현재 14개 은행이 저신용.저소득자를 대상으로 `희망홀씨' 대출을 해주고 있는데 금리는 통상 연 7~19%으로 거의 변동이 없다. 1.89%로 비교적 낮은 연체율(3월 말 기준)과 시중금리 하락세를 고려할 때 높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