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안'위성 발사 성공..천이궤도 진입

2010-06-27     이민재 기자
국내 연구개발진에 의해 제작된 첫 정지궤도 위성 '천리안'이 남미의 프랑스령 가이아나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천리안 위성은 한국시간으로 27일 오전 6시 41분(현지시각 26일 오후 6시 41분) 가이아나우주센터에서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사의 아리안-5ECA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발사됐다.

발사 후 189.2초가 지나 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됐으며 천리안 위성은 발사 24분 38초 후 지구와 가깝게는 251.1㎞, 멀게는 3만5천857.2㎞의 타원궤도인 천이궤도에 진입했다.

위성은 발사 32분 38초 후 2천5.3㎞ 고도에서 발사체로부터 분리됐으며 이때부터 위성에 탑재된 컴퓨터의 자동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위성 초기화가 이뤄졌다.

이후 발사 38분만인 오전 7시 19분 호주 동가라(Dongara) 지상국과의 첫 교신도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천리안 위성의 성공적인 발사는 2003년 9월 개발에 착수된 지 9년 7개월만에 이뤄진 것이다.

현재 위성의 전력상태와 내.외부 장비의 온도, 탑재체들의 상태, 위성의 자세 등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천리안 위성은 발사 후 3시간이 지나면 태양을 향해 태양전지판의 일부를 펼치고, 발사 36시간까지는 지구를 포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어 발사 37시간과 62시간, 101시간 후 세차례에 걸쳐 위성은 자체 엔진을 분사해 천이궤도에서 표류궤도로 상승하며 발사 후 6일이 되면 태양전지판이 완전히 펼쳐지게 된다.

또 발사 후 7일이 지나면 위성이 최종적으로 임무 자세를 잡고 통신 탑재체 안테나가 펼쳐지며 발사 후 2주 가량이 되면 표류궤도에서 고도를 높여 목표했던 동경 128.2도 상공 정지궤도에 자리잡게 된다.

천리안 위성은 이후 각종 테스트와 보정작업을 거쳐 올해 연말부터 정상적인 통신, 해양, 기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국산기술로 개발된 통신탑재체가 천리안 위성에 탑재돼 우주인증을 마치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열번째 통신위성 자체개발국으로서 차세대 위성방송통신 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또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최초로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을 운영하게 됨으로써 한반도 주변 해양환경과 수산정보를 실시간으로 관측해 해양자원 관리, 해양환경 보전 등 해양영토 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해양관측 정지궤도위성 분야를 선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