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오프’ 실시, 노사 갈등 증폭

2010-07-01     유성용 기자

유급 근로시간 면제 제도를 핵심으로 하는 타임오프제 실시가 1일부터 시행됐다. 이를 두고 노사정간 갈등이 달아오르고 있다.


타임오프제를 핵심으로 하는 개정 노조법 시행을 두고 노사정 갈등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대기업의 경우 이 제도를 실시하면 노조 전임자를 약 70%까지 줄여야 한다.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한 노동계는 대응방침을 발표하고 이달 중 타임오프 무력화 투쟁을 경고했다.


타임오프제 반대 선봉에 나선 민주노총 금속노조 산하 노조들은 속속 파업에 돌입하거나 수순을 밟고 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충남 다이모스, 현대하이스코, STX조선해양, KEC 등이 타임오프 문제로 파업을 시작했거나 파업을 준비중이다.


타임오프 노사 대리전 양상을 띠는 기아차 노조를 비롯해 GM대우차 노조 등도 파업을 가결했다.


정부와 경영계는 노동계의 물리적 투쟁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엄하게 다스리겠다는 강경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임태희 노동부장관은 "대화와 타협으로 노조법 개정에 합의했기 때문에 이런 파업 시도는 성공할 수 없고 성공해서도 안된다"며 강력히 대응할 계획임을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5단체도 공동 결의문을 통해 "경제계는 산업현장에서 타임오프제가 빠르게 뿌리내릴 수 있도록 법과 원칙을 준수하겠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이달 중순 이후부터 타임오프 위반 여부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