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은행 대형화 강행시 총파업 불사"
2010-07-06 임민희 기자
금융산업노동조합의 메가뱅크저지공동투쟁본부는 6일 금융노조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은행 대형화는 독과점과 시스템 위험을 증대시켜 금융산업의 건전성을 훼손하고 대량실업과 금융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며 “정부와 KB금융지주 어윤대 내정자가 인위적으로 인수합병을 통해 대형화를 강행할 경우 총파업을 불사하는 강력한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투쟁본부는 "우리금융 민영화는 예금보험공사 지분의 일부 매각과 지주회사 간 합병 등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우리금융 민영화는 M&A 방식이 아닌 지분의 분산매각 방식이나 포스코와 한국전력의 민영화 사례인 국민주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합병하면 자산규모나 각종 대출금 등의 점유율이 시중은행의 절반에 달해 독과점만 두드러지고 수익구조 개선이나 시너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양병민 금융노조 위원장은 "전세계에서 대형화는 낙후된 전략으로 취급되고 있음에도 (우리금융 민영화를) 시장에 맡기지 않고 정부가 획일적으로 대형화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것은 잘못됐다"며 "KB금융의 어윤대 내정자가 이러한 대형화 정책을 공론화하는 등의 상황에서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합병할 경우 작년말 기준 자산규모(연결기준)는 487조원으로, 점유율이 시중은행 대비 46%, 국책은행을 포함한 전체 은행 대비 34%에 각각 이른다. 또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3대 은행이 우리은행과 외환은행을 인수.합병한다고 가정할 경우 총자산과 국내예수금, 총부채 등의 시중은행 대비 점유율은 각각 88∼89%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