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유무선 토털 네크워크' 구축에 5조원 투자

2010-07-27     이민재 기자
KT가 오는 2014년까지 유무선 토털 네트워크 부문에 총 5조1천억 원을 투자한다.

KT(회장 이석채)는 27일 서울 광화문 올레스퀘어에서 표현명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무선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KT는 스마트폰, 태블릿PC, 커넥티드TV 등 새로운 디아비스의 출연과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에 따라 무선데이터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유무선 종합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했다.

우선 KT는 데이터 트래픽 증가에 대비해 3세대, 4세대 망인 롱텀에볼루션(LTE)만으로 어렵다고 판단, 와이파이와 와이브로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실제 KT 3G망의 데이터 트래픽은 지난 6개월 동안 3배 정도 증가했으며 스마트폰 고객(300MB)은 일반폰 고객(14MB) 대비 1인당 월 평균 21배의 데이터 용량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의 경우 AT&T는 2006년 이후 3년 동안 데이터 트래픽이 50배 증가했고,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전 세계 무선데이터 트래픽은 비디오를 중심으로 약 39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수치는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지난 2005년에 예측한 값보다 90배 가량 차이가 난다.

현재 KT의 3W(WCDMA, WiBro, WiFi)네트워크별 트래픽 비율은 1 : 2 : 7 정도로서 총 데이터 트래픽의 90%를 와이파이와 와이브로에서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2014년 KT의 데이터 트래픽은 LTE가 도입되더라도 3G와 LTE를 합한 수용량의 4.5배 수준을 초과할 것으로 KT는 예상하고 있다.

위와 같은 분석에 따라 KT는 2014년까지 WiFi, WiBro, 3G, LTE, 클라우드컴퓨팅 등에 총 5조1천억원(연간 CAPEX 가이던스 3조2천원억 범위 내)을 투자해 유무선 토털 네트워크 혁명을 통한 ‘모바일 원더랜드’를 실현할 계획이다.

KT는 현재 2만 8천국소의 올레 와이파이존을 올 연말까지 4만 국소, 2011년 말까지 10만 국소로 확대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고객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단말 USIM인증, 단말과 AP(Access Point, 무선랜공유기) 무선 구간에는 WPA(무선 구간 암호화) 적용에 이어, 단말과 서비스 게이트웨이 구간 전체를 암호화하는 I-WLAN을 연말까지 모든 와이파이망에 적용함으로써 보안성을 갖춘 Secured Network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KT는 현재 서울 및 수도권 19개시에서 구축된 와이브로망을 올 10월까지는 5대광역시와 경부, 중부, 호남, 영동 고속도로로 확대하고, 내년 3월 전국 84개시와 서해안, 남해, 신대구-부산 고속도로에 추가 구축할 계획도 세웠다.

또한 복잡한 기능의 모바일 앱과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이 지속 증가하는 상황에서 기존 컴퓨팅 방식에서는 높은 비용, 낮은 확장성, 성능 저하 등의 한계가 발생함에 따라 서버, 스토리지 등 대규모 데이터 처리의 혁신을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으로의 전환을 추진 중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은 올 5월에 신설된 클라우드 추진본부가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 6월 28일 국내 통신사 최초로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용 스토리지 서비스인 ‘ucloud’(www.ucloud.com)을 출시해 아이폰, PC 등 단말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오는 8월 기업용 서비스 출시와 지속적 단말 확대 및 추가 기능 제공을 통해 ucloud의 라인업을 확대함은 물론 IaaS 등 본격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서비스를 연내 제공할 예정이다.

이날 표현명 사장은 “무선데이터 트래픽 폭증 시대를 맞아 KT는 유무선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컴퓨팅 역량을 총동원해 끊김없는 유무선 토탈 네트워크를 구축,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의 `모바일 원더랜드`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KT는 토널 네크워크 구축을 통해 2011년 스마트폰 누적 가입자 600만명, 태블릿 PC 누적 가입자 100만명을 달성하고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 1조 1천200억원의 매출을 올린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