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소상공인 수 8년간 3만7천 감소

2010-08-10     유재준 기자
2000년대 들어 서울의 중소기업 이상 규모의 사업체가 3만 7천개 가량 증가한 반면, 소상공인은 3만7천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낸 '서울시 소규모 개인사업체 변화추이 및 특성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2000년 182조2천억원에서 2008년 234조1천억원으로 51조9천억원(28.5%) 증가했다.

이 기간 중 중소기업 이상 사업체는 3만7천개 가량 늘어 서울 전체 사업체 수는 72만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소규모 개인사업체를 의미하는 소상공인 수는 2000년 61만7천개에서 2008년 58만개로, 3만7천개(6%)가 감소했다.

소상공인은 유급근로자 5명 이하(제조업, 광업, 건설업, 운수업체는 10명 이하)를 두고 사업자등록을 한 자영업자로, 2008년 서울시 전체 사업체의 80.6%, 자영업자(65만3천개)의 88.8%를 차지했다.

업종 별로는 조사 기간 도소매업이 연평균 2.4%씩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제조업은 매년 1.2%, 숙박 및 음식업은 0.5%씩 감소했다.

교육서비스와 보건복지가 연평균 4.2%와 2.2%씩 증가했지만 전체 소상공인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9%와 2.5%로 낮았다.

2008년 현재 업종별 소상공인은 도소매업이 20.9%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숙박 및 음식업 18.6%, 운수업 14.8%, 제조업 8.2%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중구에 가장 많은 6만1천개가 몰렸으며, 강남구 5만2천개, 송파구 4만1천개, 영등포구 4만개, 종로구 3만8천개 등 순으로 집계됐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관계자는 "서울 지역경제의 중요한 기반을 이루고 있는 소규모 개인사업체의 성장세가 둔화되며 체감경기가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며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체계적 컨설팅 등 지원을 늘리고 업체 현황과 도시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효과적 대책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