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조원 규모 협력사 상생펀드 조성

2010-08-16     안광석 기자
삼성전자는 최대 1조원 규모의 협력사 지원펀드를 조성하는 등 2ㆍ3차 협력사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발표한 ‘상생경영 7대 실천방안’은 그동안의 상생활동이 1차 협력사 위주였던 것을 감안해 2ㆍ3차 협력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성장 가능성이 큰 1차 협력사에 대해서는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우선 기업은행과 공동으로 최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협력사의 설비투자, 기술개발, 운영자금 등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 주는 제도를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이 제도가 활성화되면 평소 자금조달이 어려운 2.3차 협력사들의 시설투자 및 연구개발(R&D)이 활성화해 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기술ㆍ품질ㆍ거래규모 등 일정 자격을 갖춘 2ㆍ3차 협력사를 직거래 대상으로 바꾸기로 했다. 1차 협력사와 연간 5억원 이상 거래하는 업체가 그 대상으로, 사업부별 심사를 거쳐 1차 협력사 전환 업체를 결정하기로 했다. 삼성전자의 1차 협력사가 되면 물품대금을 현금으로 받고 대외신인도를 높이는 부수적인 혜택도 얻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1차 협력사의 2차 협력사에 대한 물품대금 현금지급 등 지원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협력사 평가제도를 개선하고 1ㆍ2차 협력사 간 공정거래 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사이버 신문고' 제도를 운영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또 원자재가 변동을 부품단가에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주요 원자재를 직접 구매해 협력사에 제공하는 '사급제도'를 도입기로 했다. 이 제도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LCD TV 등 대형가전에 사용되는 철판, 레진(수지), 구리 등 3대 품목에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삼성전자는 아울러 1차 협력사 대상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2차 협력사로 확대하고, 우수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베스트 컴퍼니' 제도를 도입해 2015년까지 글로벌 톱(Top) 수준의 협력사를 최대 50개까지 육성할 방침이다.

현재 거래하지 않는 업체라도 신기술 등 핵심역량을 보유한 기업에 대해서는 자사와 거래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협력사의 미래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동 기술개발지원센터'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밖에 중소기업중앙회 종합고용지원센터와 협약을 맺어 구인난을 겪는 중소기업이 전문인력을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삼성전자 박종서 상생협력센터장은 "최근 상생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그간 삼성전자의 상생활동을 기본부터 점검해 보고 협력사의 애로사항을 직접 청취한 뒤 7대 실천방안을 수립했다"며 "이번에 수립된 7대 실천방안이 중소기업과 진정한 상생으로 가는 해법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