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처럼 보이는 변비도 있다
설사는 묽은 변을 보는 것을 말하는데, 정확하게는 배변 횟수가 하루에 4회 이상, 하루에 250g 이상 묽은 변이 있을 때 설사라고 정의한다.
변비는 일주일에 3회 이하의 변을 보거나, 변을 볼 때 심하게 힘을 주어야 하거나, 지나치게 굳어서 딱딱한 대변을 보는 경우 등을 말한다.
설사와 변비는 그 증상이 명확히 대조되므로, 이 둘을 혼동할 수는 없을 듯 보인다.
하지만 설사처럼 보이는 변비가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된 것일까?
답은 “변비가 매우 심한 경우 오히려 겉으로는 설사처럼 보일 수도 있다”이다. 특히 변비가 심한 고령 환자의 경우 굳은 대변이 직장에 가득 차있을 때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변이 너무 굳어있어 밖으로 나오지 않는데도 변의는 심해지므로, 자꾸만 화장실에 가서 힘을 주게 되어 창자액이 증가한다. 결국 대변을 보려고 힘을 주면 굳은 대변 사이로 물같은 점액질 액체가 계속해서 나오게 된다. 이른바 ‘설사처럼 보이는 변비’인 것이다.또 변의를 느끼면 이미 항문 괄약근은 약해지므로,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 실수로 이 액체를 싸거나 자신도 모르게 옷에 지리는 실수를 하게 된다. 옆에서 보는 가족들은 설사로 오인하기 쉽다.
항문에는 의지와 관계없이 오므려져 있는 내측 평활근 괄약근과 의식적인 조절이 가능한 외측의 일반 괄약근이 있다. 사람이 변의를 느끼면 무의식적으로 내측 평활근은 이완 상태가 된다.
하지만 외측 일반 근육을 의식적으로 오므리기 때문에 대변을 지리는 실수를 면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이 외측 근육이 약한 노인 등의 경우 의지와 상관없이 대변을 지리게 될 수 있다.
이렇게 변을 지리는 환자의 경우 수치심이나 부끄러움 때문에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바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특히 증상이 지속되면 괄약근 기능이 악화될 가능성이 더욱 커지므로 바로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도움말=비에비스나무병원 민영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