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금감원출신 줄줄이 영입해 논란
2010-09-06 송정훈 기자
지난달 24일 금감원 전광수 소비자서비스국장이 김앤장으로 옮기기 위해 사표를 제출했다. 10여일 앞서 금융투자서비스국 총괄팀장인 장범진 부국장도 김앤장의 스카우트 제의를 받고 사표를 냈다.
이 같은 금감원 고위직의 김앤장 러시는 지난 2006년 4월 김앤장에 ‘금융팀’이 꾸려지면서 시작됐다. 김순배 전 신용감독국장이 김앤장 금융팀 수장을 맡으면서 전승근 총괄조정국 수석조사역, 김금수 은행검사 1국 수석조사역, 허민식 조사1국 수석조사역 등 실무진들이 대거 한배를 탔다.
김앤장의 금감원 출신의 ‘얼굴마담’도 화려하다. 김앤장 출신(1997년 입사)으로 2005년부터 3년간 금감원 시장회계.증권담당 부원장을 지낸 전홍렬 상임고문이 대표적이다.
김중회 전 은행.비은행담당 부원장도 2008년 KB금융지주 사장이 되기 전 김앤장 고문이었다. 김대평 전 은행.비은행담당 부원장도 2008년부터 김앤장에 둥지를 폈다.
금감원에서 보험을 책임지던 유관우 전 부원장보도 김앤장에서 보험분야를 맡고 있다. 부원장보를 역임한 이영호 전 증권선물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도 현재 김앤장에서 증권규제 담당 고문이다.
김앤장이 이처럼 금감원 출신 고위직을 대거 영입한 것은 은행.보험.증권으로 분류됐던 금융권역간 장벽을 허무는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이후 늘어난 법적 분쟁이나 외국계 기업의 한국 시장 진입 자문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외국계 기업들이 한국 금융시장에서 기업을 신설하거나 인수하려는 데 있어 금감원 출신 고위직을 활용, 금감원에 전방위 로비를 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외국계 은행들이 금융감독 당국의 인.허가를 받으려고 김앤장의 금감원 고위직 출신을 로비의 창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이한구 의원은 “김대중 정부 이후 정부 고위층을 외국기업에 이익을 위해 대형 로펌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금감원 고위직이 김앤장에 들어가 외국계 기업을 살찌우는 것은 문제가 많다”고 비판했다.
이에 금감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앞으로 김앤장이 제기하는 민원에 대해 절대 봐주지 않겠다”며 “각종 법무법인들이 제출하는 서류를 더욱 꼼꼼히 살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