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사태' 조속한 해결이 해법이다

2010-09-28     임민희 기자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컨슈머파이내스=임민희 기자]신한금융지주와 신상훈 사장간의 진실공방이 미궁 속으로 빠지면서 '신한사태’가 장기화되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CEO리스크’에 따른 대내외적인 이미지 실추는 물론 외국인 등 투자자들의 불신과 고객들의 불안을 가중시켜 그룹의 존립마저 위태로울 수 있다는 위기설이 나오고 있다. 때문에 신한금융이 이제라도 '경영진간의 자리싸움'에 연연하기 보다는 내부구성원들의 합의를 모아 쇄신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금융권에서는 신한금융이 자체적인 문제해결에 실패하고 사법당국에 공을 넘기는 바람에 향후 수사결과에 따른 후폭풍은 물론, 금융당국이 개입할 여지를 제공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일각에서는 라응찬 회장과 신상훈 사장 등이 실명제법 위반과 비리 등의 혐의로 검찰에서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현 신한금융 경영진만으로는 이번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보고 ‘제3자 개입’이 필요하다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진동수 금융위원장 역시 지난 15일 “이번 사태의 관계자는 다 책임져야 한다”며 “사정당국의 수사 외에 올 하반기 정기검사에서 감독원도 그런 부분을 들여다볼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개입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현재, 사건을 조사 중인 서울중앙지검은 이번 사태의 파장을 감안해 신한은챙 측이 신 사장을 배임 및 횡령혐의로 고소한 지 불과 3일 만에 금융조사 3부에 사건을 배정했을 만큼 신속하게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이희건 명예회장의 고문료 15억원 횡령 혐의와 관련, 신 사장 측이 라 회장과 이 행장 역시 횡령에 직․간접접으로 개입했다는 주장을 펴면서 이에 대한 수사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금감원이 조사 중인 라 회장의 금융실명제법 위반 여부도 변수다.

라 회장과 신 사장에 대한 조사 윤곽이 예상보다 빨리 드러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신한금융은 신 사장이 조기퇴진할지, 라 회장까지 잘못되는 것은 아닌지를 두고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신한금융은 28일 이사회를 열어 직무정지중인 신 사장을 대신할 사장 직무대행을 뽑기로 했다가 재일동포 사외이사들과 국내 일부 이사, 노조의 거샌 반발에 돌연 취소했다. 신한금융 측은 라 회장의 업무부담 등을 이유로 내세웠지만 이 역시 경영진간 내부 갈등의 연장선상으로 보는 경향이 많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신한사태가 조속히 마무리되길 바라고 있다. 국내 간판 금융그룹 중의 하나인 신한금융이 자칫 ‘빅3 동반퇴진’ 등 최악의 상황과 관치 개입으로 ‘KB금융’의 전철을 밟게 될 경우 금융권 전반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은행장들 역시 최근 오찬을 갖고 ‘신한금융 사태’가 확산되는 데 대해 큰 우려를 나타냈다. 은행장들은 신한금융이 이번 사태를 조기에 마무리 짓지 못할 경우 대외적 이미지 실추와 외국인들의 불신을 가중시켜 국내 다른 은행과 경제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신한금융은 지금이라도 스스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검찰과 금융당국에만 이를 맡기지 말고 내부구성원들의 의견을 모아 사태에 책임이 있는 경영진에 책임을 묻고 새로운 경영진을 선출하는 등의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