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성접대 의혹' 원장이 직접 덮었다
기획실장,인사.감사팀장 책임론..김영신 원장 국감공지 축소?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송정훈 기자] 공익요원의 성접대 로비 의혹으로 인해 국정감사를 치르게 될 한국소비자원(원장 김영신)이 조직적으로 사건 은폐를 시도했다는 의혹이 부풀고 있다.
특히 본지의 특종 보도 당시 전직 원장들의 연루설을 강력 부인했던 소비자원 관계자들의 해명과 달리, 박명희 전 원장(사진)의 경우 사건을 보고 받고도 이를 무마하라고 지시를 내렸던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본지 8월 27일자 '소비자원장들 성접대 은폐 의혹' 참조 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212882)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성남(민주당) 의원 측에 따르면 박명희 전 원장은 지난 2008년 1월 무단결근을 하던 공익요원 전 모 씨가 자신에게 불이익을 준다면 접대 사실을 폭로해버리겠다고 협박한 내용을 인사라인을 통해 보고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박원장 몰랐다"...소비자원 거짓해명 들통
한국소비자원의 수장으로서 접대 로비 문제에 대해 자체 조사 등을 강화하진 못할망정, 전 씨의 폭로를 막기 위해 설득하라면서 사건을 조기에 무마하려는 행태를 보인 대목이다.
본지가 지난 8월 이 문제를 집중 제기했을 당시 한국소비자원 측은 “병무청으로부터 전 씨의 복무행태와 관련, 해명요구를 받은 건 박명희 원장 퇴임 뒤인 2010년"이라며 박 원장이 당시 사건을 알지 못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러나 국감을 앞두고 당시와는 전혀 상반된 사실을 실토하는 이중적 행태를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특히 한국소비자원 내부에서는 당시 인사팀장 등이 공모해 사건을 축소.은폐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인사를 총괄하는 김철 전 부원장에게는 로비의혹과 관련해 그 어떤 보고조차 이뤄지지 않은 채 팀장급에서 은밀하게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부원장은 “재직시절 (성접대 로비) 사실을 전혀 보고받지도 못했고, 알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다만 “그 사건이 (인사)팀장급 정도의 선에서 전결된 사안이라고만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소비자원 내규에 다르면 부원장은 인사.조직관리 최고 책임자다. 최고 책임자도 모르게 이 처럼 중대한 사안이 덮어진 셈이다.
당시 기획관리실장.인사팀장.감사팀장등이 협의 뒤 원장에게 보고하고 덮었다면 책임을 물어야한다는 지적이 소비자원 내부에서까지 나오고 있다.
조직의 기강을 무너뜨리고 병역법을 우롱했을 뿐 아니라 공직자들의 범법행위 혐의를 은폐한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경찰.검찰 수사,국정감사와 별도로 감사원이 철저한 감사를 실시한 뒤 책임이 있는 사람들을 가려내 처벌해야한다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사건 축소 급급...증인명단도 외부인만 공지
소비자원은 이 사건이 외부에 알려진 뒤에도 이를 시인하고 바로 잡기 보다는 무마하는 데 급급한 행태를 보였다.
내부 관계자의 전언에 따르면 소비자원은 이 사건이 보도된 직후 교육과 회람 등을 통해 직원들에게 로비사건이 '조직차원이 아닌 개인차원의 범죄’라는 점을 강조하는 데만 힘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정무위에는 “성접대 사건이 터졌을 당시, 내부 공지 등을 통해 중국은 성접대 처벌법 효력이 없는 지역이라서 아무 문제 없다”, “접대문제에 대해 당국의 수사조차가 힘들 것이다”, “이번 사건은 개인범죄지 한국소비자원 조직이 개입된 사건이 아니다”식으로 김영신 원장을 비롯한 소비자원 간부들이 나서 사건은폐를 시도했다는 제보가 연일 접수되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자원은 더 나아가 국회 정무위가 의결한 한국소비자원 관련 국감 증인 명단을 공지하면서 전직 원장의 명단은 알리지 않는 모습도 보였다.
지난 16일 정무위에서 박명희, 이승신 전 원장과 공익근무요원이던 전 씨가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음에도 한국소비자원은 이 사실을 내부적으로 공지하지 않은 것.
본지가 단독 입수한 소비자원 내부문서인 ‘[국회] 2010년 국정감사 증인.참고인 출석에 따른 자료 등 준비요청’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과 관련있는 공정거래위원회 증인 4명과 참고인 1명의 명단만 공지했다.
한국소비자원 사업과 관련해 의원 질의가 나올 수 있으므로 해당 부서에서는 관련 자료 등을 준비하라는 권고와 함께 교육업체 대표 등 외부인의 명단만 공개했다.
정작 소비자원과 직접 관련이 있는 박. 이 전 원장과 전 씨의 명단은 공지하지 않아 사건 해결을 위한 노력보다는 무마에만 힘을 기울이고 있다는 비난을 듣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소비자원 측은 "공정위 관련 증인 명단을 공지한 것은 우리 원과의 사업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라며 "전직 원장과 전 씨의 증인 명단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있을 수 있지만, 우리 원에서 다 알고 있는 사실이어서 별도로 공지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한편 이번 사건을 소비자원이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 정무위 소속 정옥임(한나라당) 의원은 “이번 소비자원 로비문제를 파헤치기 위해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필적조사를 벌이는 등 전방위 감사에 임할 것”이라며 “이번 성접대 문제를 심각한 상황으로 간주하고 절대 간과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