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용 '응급헬기'가 자치단체장 전용기?

2010-09-29     윤주애 기자

응급구조헬기가 촉각을 다투는 응급환자 수송 대신 지방자치단체장과 공무원의 출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빈축을 사고 있다.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은 보건복지부와 소방방재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3년 이후 응급환자이송 헬기구입을 위해 응급의료기금에서 총 325억원이 지자체에 지원돼 8대를 구입, 현재 6대가 운행되고 있으나 실제로 응급환자 이송건은 13%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5년간 전체 응급구조헬기 이용현황을 보면 전체 운행 2천775건 가운데 응급환자 이송은 359건으로 13%에 불과했다.

특히 경남과 전남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환자 이송비율이 0.8~4%에 불과했다.

문제는 응급구조헬기가 지자체장 및 지자체의원, 공무원의 업무지원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응급구조헬기의 기타목적 사용내역을 살펴보면 최근 3년간 6대의 응급의료헬기가 기타목적으로 128건 이용됐다. 128건 중에는 시장(정․부), 도지사(정․부), 지자체 의원 및 공무원의 업무지원에 절반인 64건에 달한다. 시․도지사 업무지원 세부내역에는 전 대통령생가 방문, 나로호발사 참관, 여수박람회참석, 방송사TV토론회 프로그램 출연, 마라톤대회 참석, 낙동강지역시찰, 독도방문, 승마대회 참석 등에 응급구조헬기가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숙미 의원은 “325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응급구조헬기가 원래 목적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일부 지자체의 업무지원이나 홍보활동 등에 사용되고 있지만, 보건복지부는 예산만 지원한 후 수수방관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원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