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그룹 특혜대출' 우리은행 서류위조 정황 포착
C&그룹의 비자금 및 정관계 로비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김홍일 검사장)는 28일 C&그룹이 우리은행에서 수백억원의 특혜대출을 받는 과정에 우리은행 직원이 서류를 조작한 정황을 포착해 구체적인 경위를 확인 중이다.
검찰은 특혜대출에 관여한 우리은행 전.현직 고위 관계자와 여신 담당자들을 곧 소환해 조사할 방침이다.
28일 검찰 등에 따르면 C&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C&중공업은 전남 목포에 조선소를 짓고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던 2008년 3월 우리은행 목포지점을 통해 100억원의 추가 대출을 요청했다.
당시 우리은행에서 여신심사업무를 담당하던 A부장은 C&중공업에서 신청한 100억원의 대출과 관련해 심사의견서를 허위로 작성해 여신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도운 것으로 드러났다.
A씨는 C&중공업이 이미 다른 금융기관에서 단기대출한도 219억원을 초과해 349억원을 대출받은 사실을 알면서도 1년전 금액인 89억원만 대출받은 것처럼 기재해 대출이 가능하도록 의견서를 작성했고 C&중공업이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에 선순위 담보가 설정돼 있어 잔여 담보가치가 전혀 없음에도 62억원의 담보가치가 있는 것처럼 보고했다.
검찰은 여신업무를 담당하는 B차장과 C부장도 2007년 9월 C&그룹이 조선ㆍ해운업 위주로 사업을 재편하려고 세운 C&구조조정 유한회사에 주식담보 대출을 하면서 규정을 위반해 한도보다 300억여원을 더 제공한 사실도 확인했다.
검찰은 C&그룹에 대한 특혜성 대출에 우리은행 직원들이 적극적으로 가담한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결재권을 가진 은행 상층부의 지시나 정치권의 외압이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관련자들의 소환을 서두르고 있다.
검찰이 소환통보할 대상에는 이 시기에 우리은행장으로 재직한 박해춘(62) 전 행장과 동생 박택춘(60) 전 C&중공업 사장 등 관련 임원들과 여신 심사업무 담당자등 10여명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검찰은 회계장부를 조작해 1천억원대의 사기대출을 받고 계열사를 부당지원한 혐의로 구속된 임병석(49) 회장과 인수ㆍ합병 등에 관여한 그룹 전ㆍ현직 임원 5~6명을 다시 불러 자금 조달 과정과 계열사 부당지원 경위를 추궁하고 있다.
검찰은 임 회장의 친삼촌인 임갑표(62) 부회장을 비롯한 '가신그룹'으로 구성된 '재정전략 스태프(자금본부)'가 계열사들의 자금관리와 인수ㆍ합병 업무를 주도한 정황을 파악하고 비자금 조성 의혹도 조사중이다.
검찰은 우리은행 외에도 농협, 메리츠화재 등 C&그룹에 대출해준 금융회사에서 제출받은 여신현황자료를 분석해 여신결정 과정을 살펴보는 등 특혜대출 의혹 수사를 1ㆍ2 금융권 전체로 확대하고 있다.